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 디지털 및 에너지 전환 정책 동향 분석

목적: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디지털과 에너지 전환 키워드를 포함하는 정부부처, 주요 언론을 분석함으로써 국내정책의 현재 동향을 파악하고 미래의 방향성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2015-2021년 동안 발행된 디지털과 에너지 전환 관련 정부부처의 보고서와 정책브리핑 기사, 주요언론에 게재된 기사를 대상으로 수집하고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사용해서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전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빈도분석과 연관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시계열 분석은 2015년부터 2021년을 연도별로 구분한 주요언론 데이터를 토대로 분석을 진...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2022, 44(3), , pp.64-76
Hauptverfasser: 이기한(Gihan Lee), 윤금주(Keum ju Yoon), 윤지언(Jieon Yoon), 김재완(Jaewan Kim), 유근제(Keunje Yoo)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디지털과 에너지 전환 키워드를 포함하는 정부부처, 주요 언론을 분석함으로써 국내정책의 현재 동향을 파악하고 미래의 방향성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2015-2021년 동안 발행된 디지털과 에너지 전환 관련 정부부처의 보고서와 정책브리핑 기사, 주요언론에 게재된 기사를 대상으로 수집하고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사용해서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전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빈도분석과 연관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시계열 분석은 2015년부터 2021년을 연도별로 구분한 주요언론 데이터를 토대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및 토의:2015-2019년 동안 발행 및 게재된 보고서와 기사를 기반으로 한 빈도분석을 통해 핵심 키워드를 확인한 결과 디지털 전환에서는 교육과 금융이 높은 비중으로 확인되었고, 에너지전환 분야에선 수소와 태양광이 높은 빈도로 검측되었다. 이 결과는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들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고, 탄소중립을 위한 신재생에너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시계열 분석 결과 현정부에 들어서서 정책의 방향성이 변화됨을 확인하였고, 코로나 발생과 한국판 뉴딜 정책 전후로 디지털 및 에너지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어 분석을 통해서는 인공지능, 가상현실, ICT와 스마트 키워드를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수소, 연료전지, 태양광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 사업이 활발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국내 디지털 및 에너지 전환 정책의 방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와 뉴딜정책 전후로 4차 산업혁명 및 탄소중립 관련 키워드의 비중과 연관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국내 정책 트렌드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향후 이를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가 매우 다양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할 수 있는 기반과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s: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digitalization and energy conversion trends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using text-mining-based analysis. Methods:From 2015 to 2021, published domestic research reports and policy briefings related to digitalization and energy from government departments and major media outlets were analyzed using text-mining techniques. Frequency, time-series, and associ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current trends and patterns. Results and Discussion:Frequency analysis of reports and articles published for the 2015-2021 period found that the most common keywords were, in descending order, ‘education’, ‘finance’, ‘hydrogen’, and ‘solar power’. This indicates that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ve been employed in various fields, with a specific focus on renewable energy for carbon neutrality. Time-series analysis confirmed that the direction of government policy has changed, and it was found that digital and energy conversion was accelerating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New Deal policies. Assoc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government policies associated with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have been established in various fields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renewable energy has been active. Conclusion:Analyzing domestic policy directions using text mining revealed an association between the fourth industrial revo
ISSN:1225-5025
2383-7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