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설사 환자에서 대변 다중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의 유용성

목적: 최근 급성 설사 환자에서 대변 다중중합연쇄반응 검사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다중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를 이용하여 설사를 유발하는 세균과 바이러스의 분포와 급성 설사 환자의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일개 대학병원에서 입원한 급성 설사 환자의 대변 검체 자료를 후향적으로 수집하였다. 대변 검체는 세균과 바이러스 검출을 위해 다중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2018년 10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일개 대학병원에서 입원한 급성 설사 환자 346명으로부터 총 414개의 대변 검체를 검사하였고...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22, 79(3), , pp.118-125
Hauptverfasser: 김서현, Seo Hyun Kim, 김유선, You Sun Kim, 김승혁, Seung Hyuk Kim, 윤원의, Won Eui Yoon, 명희준, Hee Jun Myung, 문정섭, Jeong Seop Moon, 황동희, Dong Hee Wha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최근 급성 설사 환자에서 대변 다중중합연쇄반응 검사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다중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를 이용하여 설사를 유발하는 세균과 바이러스의 분포와 급성 설사 환자의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일개 대학병원에서 입원한 급성 설사 환자의 대변 검체 자료를 후향적으로 수집하였다. 대변 검체는 세균과 바이러스 검출을 위해 다중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2018년 10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일개 대학병원에서 입원한 급성 설사 환자 346명으로부터 총 414개의 대변 검체를 검사하였고, 131건(31.6%)에서 양성이 나왔다. 동시 감염을 포함한 급성 설사의 원인으로 가장 흔한 미생물은 Clostridium perfringens (C. perfringens) (34.9%), Clostridioides difficile (C. difficile) (19.7%) 그리고 Campylobacter spp. (18.4%) 순이었다. CDI가 의심되는 환자의 370개의 대변 검체에서 toxin B gene에 대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를 동시에 진행하였고, 총 35건(9.5%)에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 양성이었으며, 이들 중 다중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로 C. difficile 양성이 나온 건수는 16건(45.7%)이었다. 결론: 다중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 결과 C. perfringens 는 가장 흔한 급성 설사 원인균이었다. 또한, CDI가 의심되는 환자의 경우 다중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만으로는 병원체를 진단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기존의 CDI 검사를 추가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Aims: There is a recent increase in the use of stool multiplex PCR assay-based diagnostic tests in patients with acute diarrhea. We used multiplex PCR assay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diarrhea-causing bacteria and viruses, as well as the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with acute diarrhea.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stool specimens of inpatients complaining of acute diarrhea from October 2018 to July 2020. The stool specimens had been tested for bacteria and viruses using multiplex PCR assays. Results: A total of 414 stool specimens from 346 patients were tested, and 152 pathogens were detected in 131 stool samples (131/414, 31.6%). Co-infection was detected in 20 patients (20/346, 5.8%). The common pathogens detected as causes of acute diarrhea, including co-infection, were Clostridium perfringens (34.9%), Clostridioides difficile (19.7%), and Campylobacter spp. (18.4%).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ith multiplex PCR-positive tests was lower than those with multiplex PCR-negative tests (p=0.001). In patients with suspected C. difficile infection (CDI), the RT-PCR for toxin gene assay was performed in 370 stool samples, 35 of which were positive (9.5%). Furthermore, 16 of the 35 samples were positive on the multiplex PCR assay (45.7%). Conclusions: The multiplex PCR assay revealed that C. perfringens was the most common diarrhea-causing pathogen. In addition, in patients with suspected CDI, the multiplex PCR assay alone was insufficiently sensitive to detect pathogens and a conventional CDI test was additionally required. (Korean J Gastroenterol 2022;79:118-125)
ISSN:1598-9992
2233-6869
DOI:10.4166/kjg.202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