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 아메드밸브 수술안에서 전체층각막이식과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의 비교

목적: 아메드밸브 수술안에서 전체층각막이식과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의 임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아메드밸브 삽입 수술을 받은 환자 중 전체층각막이식을 받은 11안,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을 받은 11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수술 후 1·3·6개월의 최대교정시력, 안압, 각막내피 세포 수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경과 관찰 기간 중거부반응 및 이식 실패를 평가하였다. 두 수술법의 이식편 생존율은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를 통해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층각막이식군(PKP...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22, 63(3), , pp.242-250
Hauptverfasser: 조연우(Yeonwoo Cho), 양순원(SoonWon Yang), 정도훈(Doh Hoon Chung), 김선주(Seon Joo Kim), 황유숙(You-Sook Hwang), 주천기(Choun-Ki Joo), 변용수(Yong-Soo Byun), 정소향(So-Hyang Chung), 김현승(Hyun-Seung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아메드밸브 수술안에서 전체층각막이식과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의 임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아메드밸브 삽입 수술을 받은 환자 중 전체층각막이식을 받은 11안,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을 받은 11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수술 후 1·3·6개월의 최대교정시력, 안압, 각막내피 세포 수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경과 관찰 기간 중거부반응 및 이식 실패를 평가하였다. 두 수술법의 이식편 생존율은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를 통해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층각막이식군(PKP)과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군(DSAEK)의 생존율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p=0.295), 이식 실패는 PK군에서 수술 후 평균 12.9 ± 10.1개월, DSAEK군에서 평균 18.8 ± 5.3개월에 발생하였다. 최대교정시력은 PK군에서 수술 후 1·3개월째(p=0.027, 0.017), DSAEK군에서는 수술 후 1·3·6개월째(p=0.005, 0.005, 0.005)에 유의한 호전을 보였으며, 두 군 간의 비교 시에는 DSAEK군이 PKP군보다 수술 후 1·3·6개월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시력 호전을 보였다(p=0.023, 0.007, 0.004). 결론: 본 연구에서, 각 수술 방법에 따른 유의한 생존율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DSAE군에서 이식 실패가 더 늦게 나타나는 경향과 보다 우수한 시력 결과를 보였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나,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은 아메드밸브 삽입안에서도 전체층각막이식을 대체할 수 있는 좋은 수술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penetrating keratoplasty (PKP) and Descemet 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DSAEK) in eyes with Glaucoma Ahmed Valve implants. Methods: The charts of 11 patients who underwent PKP and 11 who underwent DSAEK between February 2016 and June 2018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ll patients previously underwent Ahmed valve implant surgery. Th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intraocular pressure, and endothelial cell count were compared 1, 3, and 6 months after surgery. Graft rejection and graft failure were also evaluated during follow-up. The survival rates were compared using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Results: The difference in graft survival rates of the PKP and DSAEK groups was not significant (p = 0.295); however, graft failure occurred earlier in the PKP group (12.9 ± 10.1 vs. 18.8 ± 5.3 months). The postoperativ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of the PKP group had improved at 1 (p = 0.027) and 3 (p = 0.017) months, while the DSAEK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t 1, 3, and 6 months (all p = 0.005). Intergroup analysis showed better visual prognosis of the DSAEK group at 1, 3, and 6 months after surgery (p = 0.023, p = 0.007, and p = 0.004, respectively). Conclusions: In our study, the two corneal transplantation methods did not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graft survival rates; however, graft failure occured later in the DSAEK group and the postoperative visual acuity was better than in the PKP group. Although further study is needed, performing DSAEK in patients with an Ahmed valve implant seems to be a good alternative to PKP.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
DOI:10.3341/jkos.2022.63.3.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