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라이프스킬 전이의 개념적 모델
[목적] 이 연구는 ‘스포츠 라이프스킬 전이 모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스포츠 라이프스킬과 전이 연구를 문헌 고찰하였다. 연구주제에 대한 논의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대표적인 라이프스킬 선행연구와 라이프스킬 전이 모델을 선별하여 논의하였다. [결과] 첫째, 라이프스킬 전이 모델은 라이프스킬의 내면화와 일반화를 위한 기본심리욕구를 바탕으로 전이를 위한 명시적·암묵적 분위기와 환경의 영향력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전이에 대한 개념화와 통합을 토대로 인지 과정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전이의 개념을 정리하고 스포...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Ch'eyuk kwahak yŏn'gu 2021, 32(4), 128, pp.509-521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이 연구는 ‘스포츠 라이프스킬 전이 모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스포츠 라이프스킬과 전이 연구를 문헌 고찰하였다. 연구주제에 대한 논의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대표적인 라이프스킬 선행연구와 라이프스킬 전이 모델을 선별하여 논의하였다.
[결과] 첫째, 라이프스킬 전이 모델은 라이프스킬의 내면화와 일반화를 위한 기본심리욕구를 바탕으로 전이를 위한 명시적·암묵적 분위기와 환경의 영향력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전이에 대한 개념화와 통합을 토대로 인지 과정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전이의 개념을 정리하고 스포츠 환경과 스포츠 밖 환경의 연결을 지지할 수 있는 인지 과정에 대한 주요쟁점을 논의하였다. 셋째, 위 과정을 거쳐 스포츠 라이프스킬 전이 모델을 제시했다. 라이프스킬 전이는 크게 스포츠 환경·스포츠 참여자의 인지 과정·전이 촉진 상황·스포츠 밖 환경의 단계를 거쳐 나타난다.
[결론] 2000년대 이후 PYD 이론을 토대로 스포츠 라이프스킬과 전이에 대한 연구는 양적으로 많은 발전을 하였다. 하지만 아쉽게도 국내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 대한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분석을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 스포츠 라이프스킬 전이 모델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model for life skills transfer in sport. METHODS A literature review of research on life skills transfer was conducted. The prior representative studies on sport life skills and transfer models were selected and discussed to improve the validity of this study. RESULTS First, based on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the internalization and generalization of life skills, the model for life skills transfer should consider the influence of the explicit and implicit climate and environment. Furthermore, access to cognitive processes is required based on the conceptualization and integration of transfer. Second, the concept of a transfer was defined, and key issues of the cognitive processes that support the connection between the sport domain and out of the sport domain were discussed. Third, the model for life skills transfer in sport was presented. In this model, life skills transfer occur through sport context, cognitive process, promoting factors, and out of sport context. CONCLUSIONS Since the 2000s, research on life skills and transfer in sport has developed quantitatively based on positive youth development theory. Unfortunately, research on this area in South Korea is very insufficient. This study suggests a model for life skills transfer in sport based on an extensive and systematic analysis of the prior research, and this model can be used for future research. |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21.32.4.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