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 경유 디스크 절제술 및 유합술과 후방 추간공 절제술에서의 경추 추간공의 형태학적 변화 비교
목적: 경추 추간공 협착증에서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과 추간공 절제술 후 추간공의 크기 변화 및 임상 결과를 비교하여 그 효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8년 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 및 추간공 절제술을 시행한 186명 중에서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등을 고려한 환자-대조군 연구를 통해 선별된 102예를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술 전 및 술후 5일째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하여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을 시행 받은 군(A군-5...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021, 56(6), , pp.512-518 |
---|---|
Hauptverfasser: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경추 추간공 협착증에서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과 추간공 절제술 후 추간공의 크기 변화 및 임상 결과를 비교하여 그 효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8년 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 및 추간공 절제술을 시행한 186명 중에서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등을 고려한 환자-대조군 연구를 통해 선별된 102예를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술 전 및 술후 5일째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하여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을 시행 받은 군(A군-51명)과 추간공 절제술을 시행받은 군(B군-51명) 사이의 추간공의 크기 변화 및 임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술 후 A군에서 추간공 수직 직경의 변화는 평균 1.7 mm, B군에서는 평균 1.2 mm로 증가하였으며 A군에서 0.5 mm 높게나타났다(p=0.042). 추간공 횡단 직경의 변화는 A군에서 평균 1.2 mm, B군에서는 1.8 mm로 B군에서 0.6 mm 넓게 나타났다(p=0.021). Neck disability index (NDI),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JOA) score 모두 양 군에서 호전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A군에서 더 높은 호전을 보였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각각 p=0.356, p=0.607).
결론: 미세현미경과 내시경을 이용한 추간공 절제술은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에 필적하는 임상적 결과를 보였고, 수술 후 경부의 통증 및 불편감을 줄이면서 인접분절의 퇴행변화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경추의 추간공 협착증 환자에서 유용한치료 방법 중 하나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change in foraminal space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the clinical outcome after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ACDF) versus foraminotomy in cervical foraminal stenosi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18 to March 2019 on 186 patients who underwent ACDF and foraminotomy. One hundred and two cases were selected considering age, sex, and body mass index. MRI was performed before and on the 5th day after surgery to compare the changes in the foraminal diameter between the ACDF group (group A-51) and foraminotomy group (group B-51).
Results: Between groups A and B, the average change in foraminal vertical diameter was 1.7 mm and 1.2 mm, respectively; group A was 0.5 mm larger difference (p=0.042). The average change in foraminal transverse diameter was 1.2 mm and 1.8mm, respectively; group B showed a 0.6 mm larger change (p=0.21). Both the neck disability index (NDI) and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JOA) scores improved in both groups. Group A showed more improvemen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356, p=0.607, respectively).
Conclusion: Foraminotomy is a useful option for patients with foraminal stenosis of the cervical spine because it showed comparable clinical and morphological results to ACDF and could minimize motion segment loss and muscle and ligament damage.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6-2102 2005-8918 |
DOI: | 10.4055/jkoa.2021.56.6.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