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곡사 ‘굴피자리’의 내력과 무형유산적 가치

참나무 심재를 얇게 저며 섬세하게 결은 마곡사의 굴피자리는 공주 일대는 물론 중남부 지역 어디서도 발견되지 않는 이질적인 기물이며, 어렵게 찾아낸 연원은 멀리 함경북도 산간의 재가승마을과 연관된 특수한 깔개문화였다. 연구 내용을 정리해보면, 최소 100~230년의 역사성과 높은 희소성을 지녔으며, 대광보 전 바닥 전체를 빈틈없이 덮은 일체형으로 넓이가 110㎡에 달하고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큰 규모에도 눈매가 곱고 균제된 솜씨는 신심이 깊은 장인의 정성이 배어 완성도가 높다. 제작자와 관련된 좌객설화는 법신불의 영험한 기도처로서 대...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Misulsa yŏn'gu 2021, 0(41), , pp.129-153
1. Verfasser: 崔公鎬(Choi Gongho)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참나무 심재를 얇게 저며 섬세하게 결은 마곡사의 굴피자리는 공주 일대는 물론 중남부 지역 어디서도 발견되지 않는 이질적인 기물이며, 어렵게 찾아낸 연원은 멀리 함경북도 산간의 재가승마을과 연관된 특수한 깔개문화였다. 연구 내용을 정리해보면, 최소 100~230년의 역사성과 높은 희소성을 지녔으며, 대광보 전 바닥 전체를 빈틈없이 덮은 일체형으로 넓이가 110㎡에 달하고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큰 규모에도 눈매가 곱고 균제된 솜씨는 신심이 깊은 장인의 정성이 배어 완성도가 높다. 제작자와 관련된 좌객설화는 법신불의 영험한 기도처로서 대광보전의 위상과 함께 장인의 공덕에 기적으로 응답한 종교적 상징성과 결부된다. 굴피자리의 원산지인 함경북도 재가승마을 특유의 깔개문화와 마곡사의 연관성을 찾는 흥미로운 기술문화적 단서이다. 특히 제작과정은 승원공동체의 협업체계와 사찰수공업을 이해하는 무형유산적 사료로서 유의미 하다. 좋은 문화유산은 그 가치가 과거 시점에 머물지 않는다. 해당 유산에서 파생하는 여러 요소가 특정 집단의 역사를 구성하는데 그치지 않고 인류 보편의 문화 진보에 기여한다. 역사적 가치와 더불어 높은 희소성을 갖춘 대광보전의 굴피자리는 유형의 문화유산이자 동시에 사라진 문화의 층위를 복원할 무형유산으로서 가치가 높다. The gulpijari (oak rug) at Magoksa Temple―deftly woven out of delicate strips of black oak heartwood―is an unusual object found nowhere else in the Gongju area or even throughout the rest of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Its origin can be traced back to the matting traditions of a distant village of lay monks in the mountains of North Hamgyeong province. The rug―which, at 110 square meters, spans the entirety of the Daegwangbojeon Hall floor―is a rare object that is at least 100 to 230 years old and yet remains well-preserved. Its massive proportions notwithstanding, its finely and evenly wrought state of near perfection bears testament to the scrupulous work of devout artisans. The tale connected to the crippled creator of the rug reinforces not only the status of the Daegwangbojeon Hall as a divine place of prayer under the auspices of the dharmakāya but also the religious symbolism of the work as a miraculous result of the artisan’s piety. At the same time, the rug constitutes an intriguing technical and cultural clue a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agoksa Temple and the matting traditions unique to the village of married lay monks in North Hamgyeong province that was home to the tradition of gulpijari. Furthermore, this historical relic provides a particularly significant glimpse into the intangible heritage of collaborative systems within temple communities and the handicrafts which they fostered. The worth of a cultural artifact of merit is not just ascribed to days bygone. The numerous components derived from said artifact go on to contribute to the holistic progress of human culture even after they have helped us to piece together the past of a specific group of individuals. In this regard, thanks to its singular historical value, the Daegwangbojeon Hall gulpijari carries great importance both as a tangible cultural arti
ISSN:1229-3326
DOI:10.52799/JAH.2021.12.4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