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 세균각막염과 단일 세균각막염의 임상 비교 분석
목적: 복합 세균각막염의 균주분포, 선행인자, 임상양상 및 치료 결과를 단일 세균각막염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감염각막염으로 치료받고 배양검사에서 세균이 동정된 194안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전체 군을 복합세균감염(polymicrobial bacterial keratitis [PBK], 29안 62균주)과 단일세균감염(monomicrobial bacterial keratitis [MBK], 165안 165균주)으로 나누어 균주분포, 역학, 선행인자, 임상양상 및 치료 결...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21, 62(11), , pp.1465-1477 |
---|---|
Hauptverfasser: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복합 세균각막염의 균주분포, 선행인자, 임상양상 및 치료 결과를 단일 세균각막염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감염각막염으로 치료받고 배양검사에서 세균이 동정된 194안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전체 군을 복합세균감염(polymicrobial bacterial keratitis [PBK], 29안 62균주)과 단일세균감염(monomicrobial bacterial keratitis [MBK], 165안 165균주)으로 나누어 균주분포, 역학, 선행인자, 임상양상 및 치료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PBK에서 Enterobacter spp. (24%), MBK에서 Staphylococcus spp. (22%)가 가장 흔했다. 두 군 사이에 안구표면질환, 안수술력, 이전 스테로이드 사용 비율, 상피결손크기 및 전방축농 비율은 차이가 없었다. 나이 ≥60세(PBK vs. MBK, 31% vs. 51%, p=0.048), 증상 내원 기간(4.7일 vs. 8.0일, p=0.009) 및 콘택트렌즈 착용(34% vs. 18%, p=0.036)은 두 군 간에 차이를 보였다. 상피재생기간 ≥10일, 최종 최대교정시력, 수술적 치료 및 불량한 임상결과는 두 군 간 차이가 없었다. 전체 군에서 불량한 임상결과의 위험인자로 초진 최대교정시력 0.1 미만(Z=6.33, two-proportion Z-test), 상피결손크기 5 mm2 이상(Z=4.56) 및 이전 안구표면질환(Z=4.36) 등이 나타났다.
결론: PBK에서 MBK에 비해 비교적 젊은 연령 분포, 콘택트렌즈 착용 및 빠른 내원과 연관된 경우가 많았다. Purpose: We comparatively analyzed the microbiological profiles, predisposing factors, clinical aspects, and treatment outcomes of patients with polymicrobial and monomicrobial bacterial keratitis.
Methods: A total of 194 cases of culture-proven bacterial keratitis treated between January 2007 and December 2016 were reviewed. Microbiological profiles, the epidemiology, predisposing factor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the polymicrobial group (polymicrobial bacterial keratitis [PBK]; 29 eyes, 62 isolates) and monomicrobial (monomicrobial bacterial keratitis [MBK]; 165 eyes, 165 isolates) group.
Results: The most common isolates were Enterobacter (24%) in the PBK group and Staphylococcus (22%) in the MBK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previous ocular surface disease, previous ocular surgery, prior topical steroid use, epithelial defect size, and hypopyon. Age ≥60 years (PBK vs. MBK, 31% vs. 51%, p = 0.048), symptom duration (4.7 days vs. 8.0 days, p = 0.009), and contact lens use (34% vs. 18%, p = 0.036)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treatment outcomes, epithelial healing time ≥10 days, the final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a need for surgical intervention, and the rate of poor clinical outcom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a poor clinical outcome in all patients were an initial BCVA |
---|---|
ISSN: | 0378-6471 2092-9374 |
DOI: | 10.3341/jkos.2021.62.11.14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