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이식편을 이용한 공막연화증 치료의 장기간 임상 결과
목적: 공막연화증 환자에서 공막결손부에 다양한 종류의 이식편을 이용한 공막결손보강술의 효용성과 안정성에 대한 장기간의 임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2년 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공막연화증으로 내원하여 공막결손부의 상태에 따라 양막, 테논낭, 무세포 공막, 콜라겐기질을 이식한 후 결막 결손부가 생기지 않도록 양막과 하측 결막 회전피판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후 재발, 합병증 발생, 시력 변화, 그리고 세극등 사진을 이용한 외형 복원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총 58명,...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21, 62(10), , pp.1348-1354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공막연화증 환자에서 공막결손부에 다양한 종류의 이식편을 이용한 공막결손보강술의 효용성과 안정성에 대한 장기간의 임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2년 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공막연화증으로 내원하여 공막결손부의 상태에 따라 양막, 테논낭, 무세포 공막, 콜라겐기질을 이식한 후 결막 결손부가 생기지 않도록 양막과 하측 결막 회전피판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후 재발, 합병증 발생, 시력 변화, 그리고 세극등 사진을 이용한 외형 복원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총 58명, 58안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평균 연령은 65.7 ± 9.6세였고 55.2% (32명)는 여성이었다. 평균 경과 관찰 기간은 28.1 ± 17.3개월이었다. 공막연화증의 발생 원인은 익상편수술이 91.4% (53명)로 가장 많았다. 술 중 사용된 이식편은 양막이 53.4% (31명), 무세포 공막이 25.7% (15명) 등이었다. 경과 관찰 기간 동안 모든 환자에서 공막연화증의 재발은 없었으며, 수술 부위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유지되었다. 최대교정시력은 수술 전(0.24 ± 0.24 logMAR)과 수술 후(0.21 ± 0.23 logMAR)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창상열개(5.2%)와 결막낭(5.2%)이 가장 높은 비율로 발생하였다.
결론: 공막연화증에서 공막결손부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이식편을 사용하고, 양막 및 하측 결막 회전피판술을 이용하여 결막결손부가 발생하지 않도록 수술적 처치를 하면 장기간 재발 없이 효율적으로 공막연화증을 치료할 수 있는 수술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long-term efficacy and stability of the use of various reinforcement material grafts on scleromalacia.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scleromalacia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with reinforcement material grafts from January 2012 to March 2019. The choice of amniotic membrane, Tenon’s capsule, acellular sclera, or collagen matrix implanted in the area of scleromalacia was made based on disease severity.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with a pedicular rotatory inferior conjunctival flap was performed to prevent having a bare sclera. The patient demographics, cause of scleromalacia,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recurrence rat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restoration appearance were evaluated.
Results: A total of 58 patients (58 ey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5.7 ± 9.6 years, and 32 patients (55.2%) were women.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8.1 ± 17.3 months. The most common cause of scleromalacia was pterygium operation (53 patients, 91.4%). The reinforcement materials were mainly amniotic membrane (31 patients, 53.4%) and acellular sclera (15 patients, 25.7%). There was no recurrence of scleromalacia or structural instability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mean BCVA values were 0.24 ± 0.24 and 0.21 ± 0.23 logMAR, respectively. Wound dehiscence (three patients, 5.2%) and conjunctival cyst (three patients, 5.2%) occurred with the highest frequency.
Conclusions: The use of the appropriate reinforcement material graft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scleromalacia and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usi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