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간호사가 인식하는 조직침묵에 대한 간호업무 환경과 조직공정성의 영향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의 조직침묵에 대한 간호업무 환경과 조직공정성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서술적 관계연구로 참여한 간호사는 162명이었다. 측정도구는 간호업무 환경, 조직공정성과 조직침묵 설문지로 조사를 하였으며, 자료는 SPSS Win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조직침묵과 간호업무 환경, 조직공정성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체념적 침묵에 대한 사회적 네트워크정도, 결혼상태, 학력수준과 상호작용공정성의 영향은 21%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방어적 침묵에 대한 근무병동, 근무경력과...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Kanho Haengjŏng Hakhoe chi =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21, 27(4), , pp.270-281 |
---|---|
Hauptverfasser: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의 조직침묵에 대한 간호업무 환경과 조직공정성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서술적 관계연구로 참여한 간호사는 162명이었다. 측정도구는 간호업무 환경, 조직공정성과 조직침묵 설문지로 조사를 하였으며, 자료는 SPSS Win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조직침묵과 간호업무 환경, 조직공정성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체념적 침묵에 대한 사회적 네트워크정도, 결혼상태, 학력수준과 상호작용공정성의 영향은 21%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방어적 침묵에 대한 근무병동, 근무경력과 절차공정성의 영향은 20%였고, 친사회적 침묵에 대한 학력수준과 절차공정성의 영향은 12%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체념적 침묵에 대해서는 상호작용공정성이 영향을 미쳤으며, 방어적 침묵과 친사회적 침묵에 대해서는 절차공정성이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간호 관리자는 보상 결과를 분배하기까지의 절차에 주안점을 두는 절차공정성과 구성원들 간 공정한 대우에 초점을 둔 상호작용공정성이 간호사들에게 인식이 될 수 있도록 조직문화를 개선해야한다. 그러면 간호사들이 조직에 대해 적극적인 참여와 의사표현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nurses practice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silence in nurse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162 nurses in general hospitals. Measurements included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the Organizational Justice Scale, and Organizational Silence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program. Results: Nurses' organizational silence, nurses practice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justice were correlated, and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ing,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and interactive justice on acquiescence silence were 21%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 of work units, work experience and procedural justice on defensive silence were 20%, and the effect of education level and procedural justice on prosocial silence were 12%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Interaction justice affected the Acquiescent silence, and procedural justices affected the defensive silence and prosocial silence. Therefore, nursing managers should improve their organizational culture so that the procedural justices that focus on the process of distributing compensation results and the interaction justice that focuses on fair treatment among members can be recognized by nurses. Then nurses can be encouraged to actively engage and express their opinions about the organization.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5-9330 2288-49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