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론(Cucumis melo L.) 가을 재배 시 코이어 배지경에서 착과기 급액량과 생육 시기별 급액 EC수준이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가을재배 멜론 수경재배 시 ‘착과 시기’ 급액량과 생육 시기 별 급액 EC 수준의 변화가 생육과 과실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액률(%)을 기준으로 급액량을 조절하였다. 정식 후 배액률30% 수준으로 동일하게 급액을 하였고, ‘착과 시기’ 급액량을 배액률 10%, 30%로 조절하여 관수량을 2처리 하였다. 과실 착과 40일 이후 배액률은 10%로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급액 EC 수준은 생육 단계를 ‘개화기 - 착과기 - 착과 후 40일’ 3단계로나누어 저수준(1.0-1.5-...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Weon'ye gwahag gi'sulji 2021, 39(4), , pp.446-455 |
---|---|
Hauptverfasser: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가을재배 멜론 수경재배 시 ‘착과 시기’ 급액량과 생육 시기 별 급액 EC 수준의 변화가 생육과 과실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액률(%)을 기준으로 급액량을 조절하였다. 정식 후 배액률30% 수준으로 동일하게 급액을 하였고, ‘착과 시기’ 급액량을 배액률 10%, 30%로 조절하여 관수량을 2처리 하였다. 과실 착과 40일 이후 배액률은 10%로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급액 EC 수준은 생육 단계를 ‘개화기 - 착과기 - 착과 후 40일’ 3단계로나누어 저수준(1.0-1.5-1.8dS·m-1), 중간 수준(1.5-1.8-2.0dS·m-1), 고수준(1.8-1.8-2.3dS·m-1)으로 3처리 하였다. 배액 EC변화는 급액 EC 수준이 낮을수록 배액 EC 수준이 낮았고, 배액률 10% 처리구보다 급액량이 많은 배액률 30% 처리구에서 배액 EC 수준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생육 조사 결과 엽장, 엽폭, 엽면적은 ‘착과 시기’ 배액률 30%, 급액 EC 고수준(1.8-1.8-2.3dS·m-1)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나, 중간 수준 EC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높은 값을 보였다. 따라서 EC 농도는 중간 수준(1.5-1.8-2.0dS·m-1)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과중, 과고, 과폭, 및 과형 지수 등은 EC 처리보다 배액률 처리의영향이 더 높았으며 배액률 30% 처리구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생육 시기 별 급액 EC 수준이 높을수록 식물체의 생체중과건물중이 높았으나 과실 당도는 급액 EC 수준보다 배액률에 따른 공급량이 영향을 더 많이 받았으며 급액 EC 수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네트 멜론 품종 ‘피엠알월드스타’ 수경재배 시 ‘착과 시기’관수량은 배액률 30%로 설정하고, 생육 시기에 따른 급액 EC 수준은 ‘개화기 - 착과기 - 착과 후 40일’에서 1.5-1.8-2.0dS·m-1공급 시 멜론의 생육과 과실 품질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changes in irrigation amounts on the ‘fruitingperiod’ and of irrigation electrical conductivity (EC) level by the growth period on the growth andfruit properties of melon in hydroponics, using coir substrate. The irrigation amount was regulatedbased on the drainage rate (%), which was 30% after transplanting. The irrigation amount during the‘fruiting period’ was regulated to the drainage rate of 10% and 30% for the two consecutivetreatments of the irrigation level, and after 40 days of fruiting, the drainage rate was maintained atan equal level of 10%. The irrigation EC level was set to three treatments; low level (1.0-1.5-1.8dS·m-1), middle level (1.5-1.8-2.0 dS·m-1), and high level (1.8-1.8-2.3 dS·m-1), according to thethree growth periods: flowering period, fruiting period, and 40 days after fruiting. For the changesin drainage EC, a low irrigation EC level indicated a low drainage EC level, while a lower value wasshown by the 30% drainage treatment with a higher irrigation amount than by the 10% drainagetreatment. The results show that leaf length, leaf width, and leaf area were the highest at 30%drainage and the irrigation EC level on the fruiting period was high, but the middle level EC showeda similar pattern without a significant difference. Thus, for the EC level, the middle level(1.5-1.8-2.0 dS·m-1) appears to be most suitable. The irrigation amount had more influence on fruitweight, fruit height, fruit width, a |
---|---|
ISSN: | 1226-8763 2465-8588 |
DOI: | 10.7235/HORT.202100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