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눈물주머니 점막피판을 이용한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결과

목적: 코눈물관폐쇄 환자에서 피판의 종류와 유무에 따른 수술 성공률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전체 509안 중 피판을 이용하지 않은 환자군은 178안, 코점막피판만 이용한 환자군은 126안, 코-눈물주머니 점막피판을이용한 환자군은 205안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각 집단의 수술 후 1, 3, 6개월째의 육아종 형성, 골공 폐쇄를 비교하여 수술 성공률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6개월째, 육아종 형성은 코-눈물주머니 점막피판에서 6안(2.93%), 코점막피판에서 5안(3.96%), 피판을 이용하지 않은 군에서 15안...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21, 62(7), , pp.881-887
Hauptverfasser: 정일원(Ilwon Jeong), 김상덕(Sangduck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코눈물관폐쇄 환자에서 피판의 종류와 유무에 따른 수술 성공률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전체 509안 중 피판을 이용하지 않은 환자군은 178안, 코점막피판만 이용한 환자군은 126안, 코-눈물주머니 점막피판을이용한 환자군은 205안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각 집단의 수술 후 1, 3, 6개월째의 육아종 형성, 골공 폐쇄를 비교하여 수술 성공률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6개월째, 육아종 형성은 코-눈물주머니 점막피판에서 6안(2.93%), 코점막피판에서 5안(3.96%), 피판을 이용하지 않은 군에서 15안(8.42%)이었다. 골공 폐쇄는 코-눈물주머니 점막피판에서 3안(1.46%), 코점막피판에서 4안(2.38%), 피판을 이용하지 않은 군에서 6안(2.81%)이었다. 코-눈물주머니 점막피판을 이용한 환자군의 해부학적 수술 성공률은 95.61%로 코점막피판을 이용한 환자군(92.86%), 피판을 이용하지 않은 환자군(88.20%)보다 높았다. 기능적 및 해부학적 수술 성공률은 코-눈물주머니 점막피판을 이용한 환자군에서 94.15%, 코점막피판을 이용한 환자군에서 88.89%, 피판을 이용하지 않은 군에서 84.83%였다. 결론: 코-눈물주머니 점막피판을 이용한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은 육아종 형성 및 골공 폐쇄의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Purpose: In patients with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the outcomes of surgery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type or presence of flaps. Methods: In total, 509 eyes were compared retrospectively: 178 eyes in patients treated without flaps, 126 eyes in patients treated using nasal mucosa flaps, and 205 eyes in the patient group using nasal and lacrimal sac mucosal flap were compared retrospectively. We analyzed the factors of success according to the surgical method by comparing granulation and bony ostium obstruction at 1, 3, and 6 months after surgery in each group. Results: At 6 months after surgery, granulation was found in 6 eyes (2.93%) in the nasal and lacrimal sac mucosal flap group, 5 eyes (3.96%) in the nasal mucosal flap group, and 15 eyes (8.42%) in the group treated without flaps. Bony ostium obstruction was found in 3 eyes (1.46%) in the nasal and lacrimal sac mucosal flap group, 4 eyes (2.38%) in the nasal mucosal flap group, and 6 eyes (2.81%) in the group treated without flaps. The anatomical surgical success rate of patients treated with nasal and lacrimal sac mucosal flaps was 95.61%, which was higher than those of patients treated with nasal mucosal flaps (92.86%) and without flaps (88.20%). The functional and anatomical surgical success rate was 94.15% in the group treated with nasal and lacrimal sac mucosal flaps, 88.89% in the group treated with nasal mucosal flaps, and 84.83% in the group treated without flaps. Conclusions: Endonasal dacryocystorhinostomy using the nasal and lacrimal sac mucosal flap is an effective method that minimizes the risk of granulation and bony ostium obstruction.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