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브린 접착제를 이용한 공막 내 인공수정체고정술의 안축장 및 전방깊이에 따른 효과 분석

목적: 유리체절제술과 피브린 접착제를 이용한 공막 내 인공수정체고정술을 실시한 환자에서 안축장 길이와 전방깊이에 따른 효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인공수정체 이탈 환자에 대한 치료로 유리체절제술과 피브린 접착제를 이용한 공막 내 인공수정체고정술 후 6개월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한 61명, 61안에 관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안축장의 길이에 따라 22 mm 미만을 1군, 22 mm 이상, 25 mm 미만을 2군, 25 mm 이상을 3군, 전방깊이가 3.0 mm 미만을 A군, 3.0 mm 이상, 3.6 mm 미만을...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21, 62(5), , pp.656-664
Hauptverfasser: 손현우(Hyeon Woo Son), 박정민(Jung Min Park)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유리체절제술과 피브린 접착제를 이용한 공막 내 인공수정체고정술을 실시한 환자에서 안축장 길이와 전방깊이에 따른 효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인공수정체 이탈 환자에 대한 치료로 유리체절제술과 피브린 접착제를 이용한 공막 내 인공수정체고정술 후 6개월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한 61명, 61안에 관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안축장의 길이에 따라 22 mm 미만을 1군, 22 mm 이상, 25 mm 미만을 2군, 25 mm 이상을 3군, 전방깊이가 3.0 mm 미만을 A군, 3.0 mm 이상, 3.6 mm 미만을 B군, 3.6 mm 이상을 C군으로 나누어 각 군의 술 전후 교정 시력, 구면값, 원주값, 구면렌즈대응치를 측정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술 전후 최대교정시력의 유의미한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술 전후 구면값, 구면렌즈대응치는 모든 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5). 다만 안축장의 길이와 전방깊이가 길어질수록 Haptic slippage, IOL dislocation 등의 합병증 발생률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안축장의 길이와 전방깊이는 굴절이상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수술 방법을 선택할 때 고려 요인 중 하나이다. 피브린 접착제를 이용한 공막 내 인공수정체고정술 후 최대교정시력, 구면값, 구면렌즈대응치의 유의한 향상으로 시력호전을 확인할 수 있고 술 후 원주값의 유의한 변화가 없어 인공수정체의 뒤틀림과 난시의 유발이 낮음을 알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xial length and anterior chamber depth in vitrectomy and intraocular lens intrascleral fixation with a fibrin adhesive. Methods: The study retrospectively reviewed 61 eyes of 61 patients, who were followed up for over 6 months after surger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axial length: group 1, < 22 mm; group 2, 22 to < 25 mm; and group 3, > 25 mm. The patients were further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according to their anterior chamber depth: group A, < 3.0 mm; group B, 3.0 mm to < 3.6 mm; and group C, > 3.6 mm. We measured and analyzed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spherical value, cylindrical value, and spherical equivalent of each group before surgery and at 6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When comparing the groups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spherical value, and spherical equivalen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groups (p < 0.05).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such as haptic slippage and intraocular lens dislocation, increased with the axial length and anterior chamber depth. Conclusions: The use of fibrin adhesive for intraocular lens intrascleral fixation improves visual acuity and reduces refractive error. Postopera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cylindrical value. Because axial length and anterior chamber depth affect refractive error, both should be considered in correlation with the surgical method.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