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수계 고령지 밭의 비점오염 물질 유출 특성 조사 및 단위 유출량 산정
낙동강 상류에 위치한 고랭지 농업 지대의 수질 특성을 조사하고 토지 이용 형태에 따른 부하 원단위를 산정하였다. 낙동강 고령지 농업지대에서 나오는 유출수가 하천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낙동강 권역 중 고령지 농업 활동이 주로 이루어지는 상류권역인 강원도 태백, 경상북도 봉화, 영주 주변의 지점을 선정하여 물 시료를 채취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낙동강 상류권인 강원도 태백과 경상북도 봉화 및 영주 지역의 시기별 BOD 농도는 6∼7월에 석천계곡, 삼계삼거리, 도촌교 밑, 내성천에서는 10.71∼18.25 mg/L로 BOD...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Hanguk hwangyeong nonghak hoeji 2007, 26(3), , pp.233-238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낙동강 상류에 위치한 고랭지 농업 지대의 수질 특성을 조사하고 토지 이용 형태에 따른 부하 원단위를 산정하였다. 낙동강 고령지 농업지대에서 나오는 유출수가 하천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낙동강 권역 중 고령지 농업 활동이 주로 이루어지는 상류권역인 강원도 태백, 경상북도 봉화, 영주 주변의 지점을 선정하여 물 시료를 채취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낙동강 상류권인 강원도 태백과 경상북도 봉화 및 영주 지역의 시기별 BOD 농도는 6∼7월에 석천계곡, 삼계삼거리, 도촌교 밑, 내성천에서는 10.71∼18.25 mg/L로 BOD의 농업용수질기준인 8 mg/L를 초과하였다. 이는 초기 강우영농활동으로 인해 토양에 시비된 비료 성분들이 유출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COD 농도는 BOD 값과 비교할 때 대체적으로 모두 높았으며, 특히 6~7월에 석천계곡, 삼계삼거리, 도촌교 밑, 내성천에서는 18.11~21.26 mg/L로 COD의 호소수질환경기준 중 농업용수질기준인 8 mg/L를 초과하였다. 이는 BOD와 마찬가지로 초기 강우 영농활동으로 인해 토양에 시비된 비료 성분들이 유출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T-N농도는 0.1∼14 mg/L의 범위로 측정되었고 대부분의 경우 상류지역 몇 군데를 제외하고는 거의 전 지역에서 호소수질환경 농업용수기준인 1 mg/L을 초과하였다. 종합해보면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비영농기보다 영농기에서 대체적으로 총 질소의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자정작용에 의해 희석되어야 하지만 계속해서 질소를 함유한 영양물질(영농활동)이 유입되기 때문이며, 또한 영농기에는 비료의 사용과 집중 강우로 주변 하천으로 유입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총 인(T-P)은 영농활동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7월의 경우 하류 지역의 총인의 함량이 약 0.4 mg/L로 조류발생가능수준(0.05 mg/L)보다 8배 정도 높았으며, 이는 영농활동을 위하여 시용된 인산질 비료가 토양에 흡착되어 강우 시 토양유실과 함께 하천으로 이동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조사 고랭지 밭 유역의 밭의 BOD 부하 원단위는 12.25 kg/km2·day이었으며, T-P의 부하 원단위는 0.55 kg/km2· day, T-N의 부하 원단위는, 32.35 kg/km2·day이었다. 밭에서 나오는 오염부하량이 산림지에 비해 BOD에서 약 14배 총 (T-P)에서 약 9배, 총 질소(T-N)에서 약 19배 이상 정도 높다. 현재도 계속해서 임야가 개간되어 영농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밭에 대한 오염 부하량은 관리 대책이 없을 경우 계속 높아 질 것으로 판단되므로 최적영농관리기법이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o assess pollutant loads in Nakdong river from highland agriculture in Kyungbuk province, we analyzed water qualities such as BOD, COD, T-N, T-P and SS in year 2005. BOD values in rainy period (June and July)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in dry period, and those in 4 sites among 17 sites ranged from 10.71-18.25 mg/L which exceeded water criteria (8 mg/L) for agricultural use. COD values showed similar trends like BOD values. These trends might be caused by outflow of nutrients applied in agricultural lands. T-N content ranged from 0.1 to 14 mg/L. Those in lower reaches of stream were greater in those in upper stream. Compared to T-N contents during non-farming season, T-N contents in farming season were higher. These phenomenon could be due to continuous input of nutrients from small watercourses. Averaged T-P content in lower stream during farming season was 0.4 mg/L, which was eight times higher than the limiting level for algae occurrence (0.05 mg/L). BOD, T-P, T-N loads from alpine agricultural practices were 12.25 kg/km2·day, 0.55 kg/km2·day and 32.35 kg/km2·day,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greater than those from forestry. Therefore, Best |
---|---|
ISSN: | 1225-3537 2233-41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