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포도 유기농 재배지에서 녹비 생육 중 녹비 종류가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The aim of present work was to assess the response of soil microbial activity and diversity to green manures under the organically managed grape-greenhouse in early spring. Hairy vetch, milk vetch, and red clover were seeded in fall, and enzymatic activities by dehydrogenase and fluorescein diacetat...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Hanguk hwangyeong nonghak hoeji 2008, 27(3), , pp.260-266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The aim of present work was to assess the response of soil microbial activity and diversity to green manures under the organically managed grape-greenhouse in early spring. Hairy vetch, milk vetch, and red clover were seeded in fall, and enzymatic activities by dehydrogenase and fluorescein diacetate (FDA) hydrolase, and microbial diversities by Biolog $EcoPlate^{TM}$ and phospholipid fatty acid (PLFA) were characterized for soils sampled in early spring. Dehydrogenase activity and FDA hydrolytic activity did not differentiate the green manures but the average well color development of Biolog EcoPlate was higher in soils covered with red clover than control soil. Soil microbial functional diversity by Biolog EcoPlate differentiated the soils covered with hairy vetch and milk vetch, and Shannon diversity index by Biolog EcoPlate was higher in soils covered with hairy vetch than control soi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PLFA differentiated the soils covered with milk vetch from control soil. 시설 유기농 포도 재배지에서 공중 질소 고정과 잡초 억제를 목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월동 녹비가 녹비 생육 초기인 봄에 토양 미생물 활성과 다양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헤어리 베치,자운영,레드 클로버를 녹비로 파종한 후 효소 활성과 토양 미생물 군락의 기질 이용성 및 인지질 지방산 차이에 의한 토양 미생물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탈수소효소 활성과 FDA 수화도에 의한 미생물 활성으로 측정한 토양 미생물 활성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Biolog Ecoplate의 평균 색도 변화는 레드 클로버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다. Biolog EcoPlate에 의한 토양 미생물 군락의 기질 이용성은 자운영 처리구가 헤어리 베치구 및 레드 클로버 처리구와 뚜렷이 구분되었다. 그리고 미생물 군락의 기능적 다양성 지수는 헤어리 베치구가 대조구 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 인지질 지방산 구성에 의한 미생물 군락의 차이를 주요인 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자운영이 대조구와 현저히 구분되었고 녹비 처리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
---|---|
ISSN: | 1225-3537 2233-41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