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라이스 생산지역 논 토양 중 잔류중금속의 벼 흡수이행
비오염 지역인 `06년 "탑라이스(Top-rice)" 생산단지 논토양에서 채취한 토양, 볏짚, 정조, 왕겨, 현미, 쌀겨 및 백미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논토양 중 비소 1.235 mg/kg, 카드뮴 0.094 mg/kg, 구리 4.412 mg/kg, 납 4.728 mg/kg 및 수은 0.0279 mg/kg으로 우리나라 토양환경보전법상 중금속 오염 우려 및 대책기준을 초과하는 지역은 없었다. 백미 중 비소 0.051 mg/kg, 카드뮴 0.040 mg/kg, 구리 0.345 mg/kg, 납 0.065 mg/k...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Hanguk hwangyeong nonghak hoeji 2009, 28(2), , pp.131-138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비오염 지역인 `06년 "탑라이스(Top-rice)" 생산단지 논토양에서 채취한 토양, 볏짚, 정조, 왕겨, 현미, 쌀겨 및 백미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논토양 중 비소 1.235 mg/kg, 카드뮴 0.094 mg/kg, 구리 4.412 mg/kg, 납 4.728 mg/kg 및 수은 0.0279 mg/kg으로 우리나라 토양환경보전법상 중금속 오염 우려 및 대책기준을 초과하는 지역은 없었다. 백미 중 비소 0.051 mg/kg, 카드뮴 0.040 mg/kg, 구리 0.345 mg/kg, 납 0.065 mg/kg 및 수은 0.0015 mg/kg으로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는 시료는 없었다. 벼에 흡수·이행된 중금속은 대부분 볏짚에 높게 분포하였고 그 다음으로 쌀겨 부위가 약간 높게 분포 하였다. 그 밖에 정조, 왕겨, 현미 및 백미 중에는 비슷한 농도로 낮게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토양 중 중금속과 백미 중 중금속간 흡수기울기는 카드뮴(Cd 0.431)>구리(Cu 0.054)≒수은(Hg 0.052)>비소(As 0.021) >> 납(Pb 0.008) 순으로 토양 중 카드뮴이 벼에 흡수되어 쌀로 쉽게 이행되어 축적될 가능성이 제일 컸다. 벼에 흡수된 구리와 수은도 흡수이행이 용이하였고, 비소와 납은 거의 쌀로 이행되지 않았다. 벼의 지상부로 흡수·이행된 중금속 중 63.3-93.4%는 볏짚에 존재하였으며, 정조에 6.6-36.7%, 왕겨에 0.6-5.7%, 현미에 3.2-31.3%, 쌀겨에 0.8-4.6% 그리고 백미에 1.1-26.7%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뮴의 경우 지상부로 흡수된 양의 26.7-31.3%가 백미 또는 현미에 분포하였다.
Heavy metal residues in soil, rice straw, unhulled rice, rice hull, polished rice, and rice barn on the rice paddy in the "Top rice production complex which is non-contaminated area were evaluated. It was observed that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As, Cd, Cu, Pb, and Hg in the paddy soils were 1.235, 0.094, 4.412, 4.728 and 0.0279 mg/kg, respectively. There were no cultivation areas exceeded of the threshold for soil contamination designated by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Law" in Korea. For the polished rice, there were no samples exceeded of a permissible level of heavy metal residues such as 0.051 mg/kg of As, 0.040 mg/kg of Cd, 0.345 mg/kg of Cu, 0.065 mg/kg of Pb and 0.0015 mg/kg of Hg. For the uptake and translocation of heavy metals to rice plant, a main part of heavy metal accumulation was rice straw, and then rice bran. Furthermore, it shown that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unhulled rice, rice hulls, brown rice, and polished rice was approximately similar as low. The slopes of translocation of heavy metals from soil to polished rice were following order as Cd, 0.4321>Cu, 0.054≒Hg, 0.052>As, 0.021>Pb, 0.008. It was observed that potential ability of Cd uptake in rice plant and then its translocation into polished rice was very high. Concentrations of copper and mercury absorbed in the rice plant were moderate for translocating into the polished rice, while the arsenic and lead in the plant were scarcely translocated into the polished rice. The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absorbed and translocated into aboveground parts of rice plant was appeared that there were remained at 63.3-93.4% in rice straw, 6.6-36.9% in unhulled rice, |
---|---|
ISSN: | 1225-3537 2233-41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