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보광산 수계 하천수질 및 퇴적토의 오염도 평가
폐금속 광산에서 유출되는 광산배수로 인한 하류 수계의 환경오염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삼보광산 하류 수계 내 하천수질, 퇴적토양 및 인근 논토양에 대한 중금속 오염도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삼보광산 주변 광미댐 침출수의 Cd 평균 농도(0.018∼0.035 mg/L)는 우리나라 농업용수 수질기준(0.01 mg/L)을 초과하였고, 미량성분 중 Zn, Fe 및 Mn 함량도 FAO의 관개용수 최대 권고치(Zn 2.0, Fe 5.0, Mn0.2 mg/L)를 초과하였다. 광산 하류 논토양의 Pb, Zn 평균함량은 우리나라 농경지의 토...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Hanguk hwangyeong nonghak hoeji 2012, 31(2), , pp.122-128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폐금속 광산에서 유출되는 광산배수로 인한 하류 수계의 환경오염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삼보광산 하류 수계 내 하천수질, 퇴적토양 및 인근 논토양에 대한 중금속 오염도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삼보광산 주변 광미댐 침출수의 Cd 평균 농도(0.018∼0.035 mg/L)는 우리나라 농업용수 수질기준(0.01 mg/L)을 초과하였고, 미량성분 중 Zn, Fe 및 Mn 함량도 FAO의 관개용수 최대 권고치(Zn 2.0, Fe 5.0, Mn0.2 mg/L)를 초과하였다. 광산 하류 논토양의 Pb, Zn 평균함량은 우리나라 농경지의 토양오염 우려기준(Pb200, Zn 300 mg/kg)을 초과하였고, 중금속 오염지수 평균치는 상리가 1.2로 내리지역 0.45보다 높게 나타났다. 광산 하류 수계 내 퇴적토의 Cd, Pb 및 Zn 함량은 우리나라 하천용지의 토양오염 우려기준 (Cd10, Pb400, Zn 600 mg/kg)을 초과하였다. 또한 퇴적토의 중금속 오염지수(PI)는 상리지역 0.98∼7.32, 내리지역 0.34∼5.27로 지점별 편차가 컸으며, 하류 1km 지점 합류지점(SN-1, SN-2)까지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토의 부화계수(EFc) 평균치는 Cd>Pb>Zn>As>Cu>Cr>Ni 순으로 지점간의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토의 중금속별 지화학적농축계수(Igeo)는 지점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Zn>Cd>Pb>Cu>As>Cr>Ni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Zn의 경우광산 침출수 영향을 받은 퇴적토에서 경보오염에서 위험오염 (Igeo3.1∼6.2) 상태로 심하게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삼보광산 하류 하천수질 및 퇴적토의 오염도 평가를 종합해 볼 때 광산 침출수의 영향이 하류 수계 1 km 이상 (SN-1, SN-2)까지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KGROUND: Mine drainage from metal mining districts is a well-recognized source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Oxidation of metal sulfides in mines, mine dumps and tailing impoundments produces acidic, metal-rich waters that can contaminate the local surface water and soil. METHODS AND RESULTS: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llution assessment of heavy metal on the water quality of mine drainage, paddy soils and sediment in lower watershed affected by mine drainage of the Sambo mine.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dissolved Cd (0.018∼0.035 mg/L) in mine drainage discharged from the main waste rock dumps(WRD) was higher than the water quality standards (0.01 mg/L) for agricultural water in Korea. Also,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dissolved Zn, Fe and Mn were higher than those of recommended maximum concentrations (Zn 2.0, Fe 5.0, Mn0.2 mg/L) of trace metal in irrigation water proposed by FAO (1994). The average contents of Pb and Zn in paddy soils was higher than those of standard level for soil contamination (Pb200, Zn 300 mg/kg) in agricultural soil by Soil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in Korea. Also, the concentrations of Cd, Pb and Zn in sediment were higher than those of standard level for soil contamination (Cd10, Pb400, Zn 600 mg/L) in waterway soil by Soil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in Korea. The enrichment factor (EFc) of heavy metals in stream sediments were in the order as Cd>Pb>Zn>As>Cu>Cr>Ni. Also, the geoaccumulation index (Igeo) of heavy metals in stream sediments were in the order as Zn>Cd>Pb>Cu>As>Cr>Ni, specially, the geoaccum |
---|---|
ISSN: | 1225-3537 2233-4173 |
DOI: | 10.5338/KJEA.2012.31.2.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