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박의 질소비료 대체재로써의 이용 가능성
본 연구는 생태계교란 식물인 가시박 방제 작업으로 발생한 가시박 바이오매스의 질소비료 대체재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로 다른 생장 시기의 가시박시료를 채취 및 토양에 처리하여 무기태질소 함량과 상추 생장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동일한 총 질소 당량의 가시박을 투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토양 무기태 질소의 함량은 투입한가시박의 생장시기가 어릴수록 증가하였고, 그에 따른 상추의 생장량 역시 가시박의 생장시기가 어릴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 무기태 질소와 상추 생장량 사이에 높은 양의 상관(r=0.9409)을 보였...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Hanguk hwangyeong nonghak hoeji 2016, 35(1), , pp.1-5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연구는 생태계교란 식물인 가시박 방제 작업으로 발생한 가시박 바이오매스의 질소비료 대체재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로 다른 생장 시기의 가시박시료를 채취 및 토양에 처리하여 무기태질소 함량과 상추 생장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동일한 총 질소 당량의 가시박을 투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토양 무기태 질소의 함량은 투입한가시박의 생장시기가 어릴수록 증가하였고, 그에 따른 상추의 생장량 역시 가시박의 생장시기가 어릴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 무기태 질소와 상추 생장량 사이에 높은 양의 상관(r=0.9409)을 보였다. 종합해보면, 질소화학비료 대체재로써의 가시박의 이용 가능성을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가시박의 물리적 방제 용이성과 가시박에 의한 질소공급효과 및 후작 작물의 생장 측면에서 가급적 어린 유묘 상태에서 가시박을 제거하고 그 바이오매스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해 보인다. 하지만 자연 상태의 토양 내 가시박 종자들은 어느 한순간에 모두 발아되는 것이 아니라 시간 차이를 두고 2-4달동안 지속적으로 발아하는 현장의 특성을 고려해야 하며, 더하여 현장 적용 시 가시박 시료 분쇄 크기의 한계와 인력 동원 비용을 포함한 비용편익 분석 등의 후속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BACKGROUND: Burcucumber(Sicyos angulatus L.) is an invasive plant species and disturbs ecosystems in Korea. The main method for prevention of burcucumber is cutting or pulling out. However, the studies accounting for the use of the by-product of burcucumber after cutting remain incomplete. Th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burcucumber as a substitute for nitrogen fertilizer. METHODS AND RESULTS: Burcucmber plants only including stem, leaves, and petiole were collected from the Sky Park in Seoul and divided in to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 length of stem of burcucumber; 10-30 cm, 30-100 cm, and 100-200 cm. And they were input into soil with 20 kg-N/10 a. After 4 weeks aging, chemical properties of treated soils and the productivity of lettuce(Lactuca sativa L.) were examined. Both the inorganic nitrogen contents in soils and the growth of lettuce were increased with the decreases in length of burcucumber standing for young plant. And the inorganic nitrogen content and the productivity of lettuce were positively correlated(r= 0.9409). CONCLUSION: The C/N ratio of burcucumber was low, indicating fast decomposition and nitrogen supplying rate, resulting in the increase in lettuce growth. Burcucumber could be a good substitute for nitrogen organic fertilizer. |
---|---|
ISSN: | 1225-3537 2233-4173 |
DOI: | 10.5338/KJEA.2016.35.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