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화’에 기반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문장제의 계열성 분석: ‘비와 비율’ 단원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학생들에게 어려움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진 문장제의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상어와 수학적 표현 사이의 간극을 좁히기 위한 언어적 접근의 일환으로, 체계기능 언어학(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을 기반으로 논의되는 문법적 은유(grammatical metaphor) 중 ‘명사화(nominalization)’의 문제를 다루었다.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비와 비율’ 단원에 제시된 문장제를 ‘명사화의 실현 여부에 따른 유형’과 ‘명사화의 문법적 실현 방식’의 두 축을 분석틀로 삼아 분석하...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Suhak gyoyukak yeon-gu (Online) 2021, 31(1), , pp.17-34
Hauptverfasser: 이관희(Lee, Kwanhee), 장혜원(Chang, Hyewon)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본 연구는 학생들에게 어려움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진 문장제의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상어와 수학적 표현 사이의 간극을 좁히기 위한 언어적 접근의 일환으로, 체계기능 언어학(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을 기반으로 논의되는 문법적 은유(grammatical metaphor) 중 ‘명사화(nominalization)’의 문제를 다루었다.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비와 비율’ 단원에 제시된 문장제를 ‘명사화의 실현 여부에 따른 유형’과 ‘명사화의 문법적 실현 방식’의 두 축을 분석틀로 삼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명사화의 [유형 1], [유형 2], [유형 2'] 간의 계열성이 확보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언어적 관점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울 만큼 절 구성, 구 구성, 어휘에 의한 명사화가 일정한 계열성이 없이 출현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문장제의 언어적 표현 과정에서 수학적 대상화를 위한 개체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명사화의 기능을 고려할 때, 명사화의 유형 및 문법적 실현 방식의 양 측면에서 수학 교과서의 문장제 간의 긴밀한 계열성을 확보하는 것의 중요성과 그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As part of linguistic approaches to narrowing the gap between everyday words and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in the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of word problems as known to cause difficulties for students, this study examines the nominalization of the grammatical metaphor in systematic functional linguistics. We analyzed word problems in the unit “Ratio and Rate” from the mathematics textbook 6-1 using two conceptual frameworks: types of nominalization and methods for nominalization. Our analysis shows that not only do [Type 1], [Type 2], and [Type 2'] of the nominalization fail to have proper sequence but also nominalizations by clause composition, phrase composition, and vocabulary are present with little consideration of sequence from a linguistic point of view. As regards students’ ability to use nominalization to identify objects for mathematical objectification in word problems, we discuss the importance of and method for appropriate curricular sequencing of word problems in mathematics textbooks relative to both the types of and the methods for nominalization. KCI Citation Count: 4
ISSN:2288-7733
2288-8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