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성에 의한 옥수수 식초의 향기 성분 변화

강원도에서 생산된 옥수수를 사용하여 식초를 제조한 후 초산 발효 및 숙성에 의해 변화되는 주요 향기성분을 조사하였다. 옥수수 술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낸 휘발성 성분은 2-phenylethanol으로서 전체 휘발성 성분의 약 27%를 차지하였으나, 초산 발효 후 15%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옥수수 술과 옥수수 식초는 초산 발효 및 숙성 기간에 따라 향기 성분의 특성이 패턴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초산 발효 이후에 전체 휘발성 물질 중에서 초산이 약 50%를 차지하여 가장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2020, 48(1), , pp.90-97
Hauptverfasser: 신인웅, In-ung Shin, 박은희, Eun-hee Park, 최영환, Yeong-hwan Choi, 류수진, Su-jin Ryu, 신우창, Woo-chang Shin, 김명동, Myoung-dong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강원도에서 생산된 옥수수를 사용하여 식초를 제조한 후 초산 발효 및 숙성에 의해 변화되는 주요 향기성분을 조사하였다. 옥수수 술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낸 휘발성 성분은 2-phenylethanol으로서 전체 휘발성 성분의 약 27%를 차지하였으나, 초산 발효 후 15%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옥수수 술과 옥수수 식초는 초산 발효 및 숙성 기간에 따라 향기 성분의 특성이 패턴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초산 발효 이후에 전체 휘발성 물질 중에서 초산이 약 50%를 차지하여 가장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2-phenylethanol, diethyl succinate 순서로 높았다. 장미향을 나타내는 ethyl phenylacetate와 과일향을 나타내는 diethyl succinate 등 에스테르 화합물의 향기 활성가가 높게 나타나 이들 성분이 초산 발효 후 식초의 향기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Vinegar was prepared from corn produced in Gangwon province and changes to the major aroma components were investigated for acetic acid fermentation and ripening. The most prevalent volatile component in corn alcohol was determined to be 2-phenylethanol (accounting for 27% of total aroma components); the levels of 2-phenylethanol decreased to 15% after acetic acid fermentati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revealed that corn vinegar was distinguishable from corn alcohol.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volatile components (50%) was acetic acid, followed by 2-phenylethanol and diethyl succinate. Ethyl phenylacetate and diethyl succinate had the highest odor activity value, and might contribute most profoundly to the aroma of corn vinegar.
ISSN:1598-642X
2234-7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