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경지수가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현실충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역경지수, 현실충격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방법: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신규간호사 158명에게 설문지로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4월에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통계 프로그램(Win 22.0)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 미치는 요인으로는 훈련상태(β=.38), 연령(β=.19)과 현실충격(β=.51)로 나타났으며 현실충격이 가장 영향력이 높았다. 이와 같은 변수들의 영향력은 46.3%였다. 역경지수는 현실충격을 완전매...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anho Haengjŏng Hakhoe chi =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20, 26(5), , pp.457-467
Hauptverfasser: 고영진(Go, Youngjin), 한수정(Han, Sujeo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연구목적: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역경지수, 현실충격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방법: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신규간호사 158명에게 설문지로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4월에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통계 프로그램(Win 22.0)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 미치는 요인으로는 훈련상태(β=.38), 연령(β=.19)과 현실충격(β=.51)로 나타났으며 현실충격이 가장 영향력이 높았다. 이와 같은 변수들의 영향력은 46.3%였다. 역경지수는 현실충격을 완전매개로 하여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보인 현실충격에 대해 역경지수를 높여 현실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이직의도를 낮추는 전략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effect of adversity quotient and reality shock on the turnover intentionamong new nurses in general hospitals. Methods: Participants were 158 new nurses in general hospitals. A surveywas used and data were collected in April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WIN 22.0 program. Results:The significant predictors for the turnover intention of new nurses were training status (β=.38), age (β=.19) and realityshock (β=.51). These variables explained 46.3% of the variance i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Also, reality shockhad a tot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sity quotient and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Findings indicate that adversity quotient and reality shock are important factors for turnover intention of new nursesin general hospital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5-9330
2288-4955
DOI:10.11111/jkana.2020.26.5.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