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사고 대비 육상생태 취약성 평가기법 개발 연구: (2) 초본류를 중심으로
목적:현대사회에서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화학물질의 사용량은 증가하며, 육상 환경에서 서식 및 활동하는 사람과 다양한 생물들이 이러한 화학물질에 다량 노출된다. 전 세계적으로 화학물질에 의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화학물질 사고에 의해 육상 생태계는 치명적인 피해를 입게 된다. 고독성의 화학물질이 육상 생태계로 다량 노출될 경우, 육상 생태계에 서식하는 생물들뿐 아니라 토양 기능 또한 큰 피해를 입게 된다.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학사고 및 화학물질에 대한 대응책이 요구되며, 체계적인 취약성 평가 기법을 개발하여...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2020, 42(12), , pp.610-622 |
---|---|
Hauptverfasser: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현대사회에서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화학물질의 사용량은 증가하며, 육상 환경에서 서식 및 활동하는 사람과 다양한 생물들이 이러한 화학물질에 다량 노출된다. 전 세계적으로 화학물질에 의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화학물질 사고에 의해 육상 생태계는 치명적인 피해를 입게 된다. 고독성의 화학물질이 육상 생태계로 다량 노출될 경우, 육상 생태계에 서식하는 생물들뿐 아니라 토양 기능 또한 큰 피해를 입게 된다.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학사고 및 화학물질에 대한 대응책이 요구되며, 체계적인 취약성 평가 기법을 개발하여 화학사고 발생을 대비한 육상 생태계 관리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으로 생물 특성 기반의 화학사고 및 화학물질 취약성 평가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국내 분포에 따라 선정된 215종의 초본에 대하여 노출(exposure) 및 회복(recovery) 범주에 따라 이를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취약성 인자(vulnerability indicator)를 설정하고, 각 식물의 특성에 따라 인자별로 배점화를 수행, 이를 합산하여 식물의 화학사고에 대한 취약성을 정량화하였다.
결과 및 토의:초본 215종에 대한 취약성 인자 설정 및 배점화 결과, 환삼덩굴, 아마, 솔잎난, 꽃마리 및 광대나물이 최상위 취약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억새, 오리새, 큰기름새 및 이삭여뀌가 최하위 취약종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육상 생태계는 인간 활동의 주요 무대가 되며 다량의 화학물질이 사용되는 만큼 화학사고로 인한 큰 위험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육상 생태계 취약성 평가를 활용, 화학물질의 육상 생태계에 대한 취약성을 우선적으로 평가하여 이를 화학사고 및 화학물질 관리와 대응방안 마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As the industry rapidly develops in modern society, the use of chemicals increases and people and various organism living in terrestrial environments are exposed to these chemicals in large quantities. Chemical accidents frequently occur around the world, and these accidents could cause fatal damage to the terrestrial ecosystem. When the terrestrial ecosystem is exposed to highly toxic chemicals, soil functions as well as living organisms in the terrestrial ecosystem could be severely damaged. Countermeasures against chemical accidents and chemicals are required to prevent such damage and for this purpose, systematic vulnerability assessment techniques should be developed to prepare terrestrial ecosystem management for chemical accid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conducted to develop chemical vulnerability assessment techniques based on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lants.
Method:First, we selected 215 species among herb plants according to the domestic distribution and establish various vulnerability indicators that can be evaluated according to the exposure and recovery categories.
Results and Discussion:As a result of vulnerability scoring for 215 herbs species, the most vulnerable species were Humulus japonicus, Linum usitatissimum, Psilotum nudum, Trigonotis peduncularis, and Lamium amplexicaule. The least vulnerable species were Miscanthus sinensis, Dactylis glomerata, Spodiopogon sibiricus, and Polygonum filiforme.
Conclusions:Terrestrial ecosystem is a main stage of human activity, so there is a high risk of chemical accidents as a large amount of chemicals are used |
---|---|
ISSN: | 1225-5025 2383-7810 |
DOI: | 10.4491/KSEE.2020.42.12.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