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산균 배양에서 수산화나트륨 세척제로 증류수 사용에 대한 평가

배경: 항산균 검사를 위한 호흡기 검체는 점액과 상재균 제거를 위해 N-acetyl-L-cysteine-sodium hydroxide (NALC-NaOH)로 전처리한 후, 인산완충용액으로 세척과 중화를 거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산완충용액대신에 증류수 사용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6년 10월부터 2018년 9월까지 2년 동안 광주 소재 종합 병원에서 진행된 항산균검사를분석했다. 호흡기검체의 전처리 세척제로 인산완충용액과 증류수를 각각 1년씩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결과: 배양 양성률은 인산완충용액 사용시기...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Annals of clinical microbiology 2020, 23(4), , pp.1-10
Hauptverfasser: 백해경, 고현미, 이명희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배경: 항산균 검사를 위한 호흡기 검체는 점액과 상재균 제거를 위해 N-acetyl-L-cysteine-sodium hydroxide (NALC-NaOH)로 전처리한 후, 인산완충용액으로 세척과 중화를 거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산완충용액대신에 증류수 사용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6년 10월부터 2018년 9월까지 2년 동안 광주 소재 종합 병원에서 진행된 항산균검사를분석했다. 호흡기검체의 전처리 세척제로 인산완충용액과 증류수를 각각 1년씩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결과: 배양 양성률은 인산완충용액 사용시기에 12.7% (1,843/14,532), 증류수 사용시기에 14.7% (2,095/14,291)였다. MGIT의 양성률과 MTBC와 NTM의 분리비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2% Ogawa media에서는 NTM의 배양이 47.4% (399/841)에서 56.1% (630/1,122)로 증가함에 따라 양성률이 45.6% (841/1,843)에서 53.6% (1,121/2,095)로 증가하였다. MGIT 오염률은 6.5%에서 4.1% 로감소하였다결론: NALC-NaOH 세척제로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은 MGIT의 오염률은 감소시키면서 Ogawa media의 양성률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항산균 배양 검사에서 전처리 세척제로 인산완충용액대신 증류수 사용도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Respiratory specimens subjected to mycobacterial detection were initially pretreated with N-acetyl-L-cysteine-sodium hydroxide (NALC-NaOH) to remove the mucus and normal flora. Next, they were washed and neutralized with phosphate-buffered solution (PBS). The effectiveness of distilled water (DW) compared to PBS as a washing neutralizer during identification of mycobacteria was evaluated in this study. Methods: We analyzed the results of mycobacterial test conducted at a general hospital in Gwangju from October 2016 to September 2018. PBS and DW were used as a respiratory sample washing agent for one year each. Results: The positive culture rate for the culture of mycobacteria was 12.7% (1,843/14,532) and 14.7% (2,095/14,291), when PBS and DW were used, respectively. The recovery rate of the mycobacteria growth indicator tubes (MGIT) and the separation rates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and 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However, in 2% Ogawa medium, as the NTM culture increased from 47.4% (399/841) to 56.1% (630/1,122), the recovery rate increased from 45.6% (841/1,843) to 53.6% (1,122/2,095). The MGIT contamination rate decreased from 6.5% to 4.1%. Conclusion: DW as a washing agent for NALC-NaOH increased the recovery rate of Ogawa media and reduced the contamination rate of MGIT. Therefore, use of DW instead of PBS as a washing neutralizer during identification of mycobacteria might be useful. KCI Citation Count: 0
ISSN:2288-0585
2288-6850
DOI:10.5145/ACM.2020.2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