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chemico 펩타이드 반응성 시험(Direct Peptide Reactivity Assay)을 이용한 농약 원제의 피부 감작성 평가

농작업자가 농약 사용시 피부를 통해 직, 간접적으로 노출되면 농약 성분 내 여러 화학물질이 피부 감작성으로 인해 야기되는 알러지성 접촉 피부염 등의 다양한 피부 질환을 유발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농약 원제에 대한 독성 및 안전성 평가가 필요하며, 독성 평가 중 피부 감작성 평가는 주로 기니피그와 같은 실험동물 모델을 이용한 시험법들이 오랫동안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많은 수의 실험동물의 희생과 사용에 의한 윤리적인 문제가대두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OECD TG 442C로 등재된 in chemico 펩타이드 반응성 시험...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농약과학회지 2020, 24(3), , pp.286-295
Hauptverfasser: 이명지(Myung-Ji Lee), 이슬(Seul Lee), 함성남(Seong-Nam Ham), 박연기(Yeon-Ki Park), 오진아(Jin A Oh), 신지영(Ji-Young Shin)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농작업자가 농약 사용시 피부를 통해 직, 간접적으로 노출되면 농약 성분 내 여러 화학물질이 피부 감작성으로 인해 야기되는 알러지성 접촉 피부염 등의 다양한 피부 질환을 유발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농약 원제에 대한 독성 및 안전성 평가가 필요하며, 독성 평가 중 피부 감작성 평가는 주로 기니피그와 같은 실험동물 모델을 이용한 시험법들이 오랫동안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많은 수의 실험동물의 희생과 사용에 의한 윤리적인 문제가대두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OECD TG 442C로 등재된 in chemico 펩타이드 반응성 시험(Direct peptide reactivity assay, DPRA)인 동물대체 피부 감작성 시험을 통해 OECD 가이드라인에 기술된 숙련도 검정 및 선발된 국내 농약원제 10종에 대해 피부 감작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농약 원제 10종의 피부 감작성을 평가한 결과, 시스테인과 리신펩타이드 소실률의 평균은 Benomyl에서 50.00%(고반응성, 양성), butachlor는 27.23%(중반응성, 양성), carbosulfan 은 50.00%(고반응성, 양성), diazinon은 1.23%(무반응성, 음성), fluazinam은 59.91%(고반응성, 양성), glufosinate ammonium은 1.31%(무반응성, 음성), oxadiazon은 1.71%(무반응성, 음성), pretilachlor은 43.88%(고반응성, 양성), tebuconazole은 0.05%(무반응성, 음성), terbufos에서 20.94%(저반응성, 양성)로 나타났다. 총 농약 원제 10종 중에서6종이 피부 감작성 양성으로 분류되었다. 농약 원제 10종의 피부 감작성 평가를 기존 in vivo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피부 감작성 예측 결과는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PRA 시험법은 in chemico 방법으로 모든 시험 물질에대해서 정확한 피부 감작성 예측 결과를 얻을 수 없지만, 피부감작성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in vitro 시험법들을추가적으로 병행하여 수행할 경우 보완이 가능하다. 또한 DPRA법은 다른 피부감작성시험들과 비교하여 사용 가능한 가장 간단하고 예측력이 높은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DPRA 시험법이 농약의 독성 평가에 적용할 수 있도록 평가기법의 기본 자료를 제공하여 향후 동물대체 피부 감작성 시험에 대한 기술력 증진에 기여할 수있을 것이다. Skin sensitizers are chemical substances that can elicit allergic responses or diseases in skin upon contact. To assess of the skin sensitizing potential of chemicals, agrochemicals, and cosmetic ingredient, there is performed animal test, such as guinea-pig maximization test (GP), buehler occluded patch test (BT) and local lymph node assay (LLNA). However, due to the animal welfare and European Union (EU) legislation for test of cosmetic ingredients have developed various alternatives to animal test. In chemico skin sensitisation: Direct Peptide Reactivity Assay (DPRA, OECD Test Guideline 442C) is composed of applying a test substance on synthetic peptides containing cysteine or lysine and determining skin sensitization measured by reactivity of pesticides. In this study, the alternative method using DPRA was conducted for evaluation of skin sensitization on 10 pure pesticides of concern as potential sensitizing. These results showed that benomyl (50.00%), butachlor (27.23%), carbosulfan (50.00%), fluazinam (55.56%), pretilachlor (43.88%) and terbufos (20.94%) were reported positive, while diazinon (1.23%), glufosinate ammonium (1.31%), oxadiazon (1.71%) and tebuconazole (0.48%) were found negative in the DPRA method. Compared with in vivo tests (LLNA and GP data), 6 pesticides were p
ISSN:1226-6183
2287-2051
DOI:10.7585/kjps.2020.24.3.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