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형 Chiari기형에서 발생한 급성후천내사시 2예

목적: 저자들은 급성후천일치내사시로 의뢰된 환자 중 제1형 Chiari기형이 급성후천일치내사시의 원인이었던 두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15세의 여자 환자가 1주일 전 갑자기 발생한 수평복시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복시 발현 1주일 전 두통, 현기증, 오심을 호소하였다고 한다. 모든 방향에서 내사시각은 일치하였으며 양안에 외전장애는 없었다. 안저검사상 양안 시신경유두의 부종 소견을 보였다. 뇌 자기공명영상검사상 소뇌 편도 탈출 소견이 관찰되어, 제1형 Chiari기형으로 진단하고 신경외과로 의뢰하였다. 12세의 남자 환자가...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20, 61(8), , pp.977-981
Hauptverfasser: 윤영인(Young In Yun), 정재호(Jae Ho Ju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저자들은 급성후천일치내사시로 의뢰된 환자 중 제1형 Chiari기형이 급성후천일치내사시의 원인이었던 두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15세의 여자 환자가 1주일 전 갑자기 발생한 수평복시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복시 발현 1주일 전 두통, 현기증, 오심을 호소하였다고 한다. 모든 방향에서 내사시각은 일치하였으며 양안에 외전장애는 없었다. 안저검사상 양안 시신경유두의 부종 소견을 보였다. 뇌 자기공명영상검사상 소뇌 편도 탈출 소견이 관찰되어, 제1형 Chiari기형으로 진단하고 신경외과로 의뢰하였다. 12세의 남자 환자가 1주일 전 갑자기 발생한 수평복시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3개월 전 현기증과 실신의 과거력이 있었다. 일치내사시 소견을 보였으며 안운동의 제한은 없었다. 뇌 자기공명영상검사상 경도의 소뇌 편도 탈출 소견을 보여 제1형 Chiari기형으로 진단하였다. 양안내직근후전술 시행 후 복시 증상은 해소되었다. 결론: 급성후천내사시 환자에서 시신경유두부종, 두통, 실신과 같은 신경안과적인 징후나 증상이 있는 경우 두개강내 신경학적 이상을 의심하고 면밀한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We report two cases of patients who were referred to our clinic with acute acquired comitant esotropia (AACE) and were then diagnosed with a Chiari I malformation. Case summary: A 15-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acute diplopia for one week. She complained of headache, dizziness, and nausea one week before the onset of diplopia. The angles of esodeviation were concomitant in all directions of gaze, and no limitation in abduction was observed. Fundus photographs showed bilateral papilledema an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cerebellar tonsillar herniation. She was diagnosed with acute acquired comitant esotropia associated with Chiari I malformation and was referred to the Neurosurgery Department for consideration of decompression surgery. A 12-year-old male presented with an acute onset horizontal diplopia for one week. He had a history of dizziness with syncope three months prior to his visit. He had comitant esotropia in all directions of gaze without any limitation of ocular movement.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cerebellar tonsillar herniation and he was diagnosed with acute acquired comitant esotropia associated with Chiari type I malformation. He was treated with bilateral medial rectus muscle recession surgery to correct esotropia and he had no diplopia after the surgery. Conclusions: When a patient presents with AACE, especially in the presence of neurological symptoms/signs such as headache, syncope, or papilledema, a full neurological examination and prompt neuroimaging are warranted to rule out Chiari I malformation.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