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신경염에서 초기 시신경유두부종의 정도에 따른 황반부 내측 망막두께 변화 비교

목적: 시신경염에서 초기 시신경유두부종의 정도에 따른 황반망막신경섬유층 및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의 초기 변화를 알아보고자 했다. 대상과 방법: 후향적 연구로, 외래를 방문한 환자에서 시신경염을 진단 받고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을 시행 받은 환자들 중 초기시신경유두부종이 나타났던 18명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초진시 시신경유두부종의 정도는 시신경유두 중심부 두께 및 시신경유두주위 망막두께를 측정했고,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 반대안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황반망막신경섬유층 및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의 초기 변화를 분석하였다. 황반...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20, 61(7), , pp.803-810
Hauptverfasser: 김대성(Dae Sung Kim), 홍은희(Eun Hee Hong), 신용운(Yong Un Shin), 강민호(Min Ho Kang), 성민철(Mincheol Seong), 조희윤(Hee Yoon Cho)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시신경염에서 초기 시신경유두부종의 정도에 따른 황반망막신경섬유층 및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의 초기 변화를 알아보고자 했다. 대상과 방법: 후향적 연구로, 외래를 방문한 환자에서 시신경염을 진단 받고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을 시행 받은 환자들 중 초기시신경유두부종이 나타났던 18명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초진시 시신경유두부종의 정도는 시신경유두 중심부 두께 및 시신경유두주위 망막두께를 측정했고,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 반대안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황반망막신경섬유층 및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의 초기 변화를 분석하였다. 황반망막신경섬유층 및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를 측정하였고, 그 변화와 초진시 시신경유두부종 정도와 상관관계도 분석했다. 결과: 시신경염 안에서 황반 신경절세포-내망상층의 두께는 경과 관찰 1달째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초진시의 시신경유두 중심부두께는 1달째 이측 황반 신경절세포-내망상층의 두께 감소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648, p=0.045). 초진시 비측의 시신경유두주위 망막두께가 두꺼울수록 1달째 비측(R=0.659, p=0.038)과 이측(R=0.774, p=0.009) 황반 신경절세포-내망상층의 두께 감소가 심했다. 초진시 이측의 시신경유두주위 망막두께가 두꺼울수록 1달째 비측(R=0.646, p=0.044)과 이측(R=0.760, p=0.011) 황반 신경절세포-내망상층의 두께 감소가 심했다. 결론: 시신경유두부종이 동반된 시신경염에서, 시신경유두주위와 시신경유두 중심부 두께 및 시신경유두주위 망막두께로 평가한 초기 시신경유두부종 정도가 심할수록 1달째 이측 황반 신경절세포-내망상층의 두께 감소가 심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진시 시신경유두부종 정도가 심할수록 황반 신경절세포-내망상층의 두께의 감소가 초기에 더 빨리 진행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Purpose: To compare early changes in the macular retinal nerve fiber layer (mRNFL) and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mGCIPL) thicknesse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initial optic disc edema in optic neuritis patients using swept-sour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S-OCT).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8 eyes of patients diagnosed with naïve optic neuritis along with optic disc edema who underwent SS-OCT. The central thickness of the optic nerve head and the peripapillary retinal thickness were measured at the initial visit. To quantitate the degree of initial optic disc edema, we calculated the difference of each measurement between the affected eye and the normal fellow eye. The mRNFL and mGCIPL thicknesses were measured at the initial visit and at the 1 month follow-up. The association between changes in mRNFL and mGCIPL thicknesses at the 1 month follow-up and the severity of initial optic disc edema were evaluated. Results: In the affected eye, the mGCIPL thickness was reduced at 1 month. The central thickness of the optic nerve head at the initial visit correlated with the reduction in the temporal mGCIPL at 1 month (R = 0.648, p = 0.045). Furthermore, thicker nasal peripapillary retinal thickness at the initial visit correlated with a reduction in nasal (R = 0.659, p = 0.038) and temporal (R = 0.774, p = 0.009) mGCIPL at 1 month. Thicker temporal peripapillary retinal thickness at the initial visit correlated with reduction in the nasal (R = 0.646, p = 0.044) and temporal (R = 0.760, p = 0.011) mGCIPL at 1 month. Conclusions: In optic neuritis p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