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 출혈이 의심된 문맥압 항진증 환자의 캡슐내시경 검사
목적: 문맥압 항진증이 있는 환자의 소장 출혈에 대한 국내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는 소장 출혈이 의심된 문맥압 항진증 환자를 대상으로 캡슐내시경 검사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센터에서 2003년 7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소장질환이 의심된 501예를 대상으로 캡슐내시경 검사를 하였다. 501예 중에서 소장 출혈이 의심된 간경변증으로 인한 문맥압 항진증 환자 9명을 대상으로 후향 분석하였다. 결과: 남자는 6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53.4세이었다. 평균 혈색소 수치는 8.1 g/dL였다. 캡슐내...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Intestinal research 2011, 9(2), , pp.129-138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문맥압 항진증이 있는 환자의 소장 출혈에 대한 국내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는 소장 출혈이 의심된 문맥압 항진증 환자를 대상으로 캡슐내시경 검사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센터에서 2003년 7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소장질환이 의심된 501예를 대상으로 캡슐내시경 검사를 하였다. 501예 중에서 소장 출혈이 의심된 간경변증으로 인한 문맥압 항진증 환자 9명을 대상으로 후향 분석하였다. 결과: 남자는 6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53.4세이었다. 평균 혈색소 수치는 8.1 g/dL였다. 캡슐내시경에서 문맥압항진 소장병증 9예(100%), 공장 정맥류 4예(44.4%), 공장 및 회장의 혈관 이형성 5예(55.5%), 다발성 소장 미란 1예(11.1%), 공장 점막의 과립형 변화 1예(11.1%), 소장 점막 홍반 3예(33.3%)가 관찰되었다. 공장 정맥류의 활동성 출혈은 2예(22.2%)에서 관찰되었다. 캡슐내시경에서 활동성 출혈은 없었으나 4예(44.4%)는 문맥압항진 소장병증을 출혈병소로 진단하였다. 결론: 문맥압항진 소장병증의 진단과 출혈병소를 규명하는 데 캡슐내시경은 매우 유용한 검사이다. 향후 전향적 다기관 캡슐내시경 연구를 통해 문맥압항진 소장병증의 유병률 및 임상 의의를 규명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Aims: In Korea, limited data are available on small bowel bleeding in patients with portal hypertension. This study reports on the use of capsule endoscopy in cases of suspected small bowel bleeding in patients with portal hypertension. Methods: Capsule endoscopy was used at our hospital to evaluate small bowel disease in 501cases from July 2003 to June 2010. Of those cases, nine patients with portal hypertension due to liver cirrhosis with suspected small bowel bleeding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ata from medical records. Results: Six of the nine (66.7%) patients were males with an average age of 53.4 years. The average hemoglobin level was 8.1 g/dL. Abnormalities noted during capsule endoscopy included portal hypertensive enteropathy in all nine cases (100%), jejunal varices in four (44.4%), jejunal and ileal angiodysplasia in five (55.5%), multiple small bowel erosions in one (11.1%), granularity of the jejunal mucosa in one (11.1%),and small bowel erythema in three (33.3%). Active bleeding from jejunal varices was detected in two patients (22.2%). Despite having no obvious active bleeding during the capsule endoscopy, four patients (44.4%) were diagnosed with portal hypertensive enteropathy with obscure small bowel bleeding. Conclusions: Capsule endoscopy is a useful diagnostic tool for the evaluation of small bowel bleeding in patients with portal hypertensive enteropathy. Additional prospective and multicenter studies on the use of capsule endoscopy are needed to evaluate the incidence and clinical importance of portal hypertensive enteropathy. (Intest Res 2011;9:129-138) |
---|---|
ISSN: | 1598-9100 2288-19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