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중 심박수를 이용한 속도별 AT(anaerobic threshold) 추정 방법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걷기와 달리기 운동 프로토콜과 심박수 측정을 통하여 간편하게 AT를 추정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피검자는 10대, 20대, 30대 피험자 60명(연령별 각 20명씩)을 대상하였으며, AT reference인 환기역치를 측정하기 위한 최대운동부하검사(Bruce protocol)와 AT 추정을 위하여 걷기와 달리기 운동 수행 중 심박수를 측정하였다. 걷기 운동은 4·5·6·7km/h, 달리기 운동은 7·8·9·10km/h로 각 속도별로 5분씩 실시되었으며, 속도 단계별 중간 휴식 없이 진행되...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Exercise science (Seoul, Korea) 2010, 19(1), , pp.67-78
Hauptverfasser: 정경렬, 최준호, 윤효정, 김사엽, 박기덕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본 연구는 걷기와 달리기 운동 프로토콜과 심박수 측정을 통하여 간편하게 AT를 추정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피검자는 10대, 20대, 30대 피험자 60명(연령별 각 20명씩)을 대상하였으며, AT reference인 환기역치를 측정하기 위한 최대운동부하검사(Bruce protocol)와 AT 추정을 위하여 걷기와 달리기 운동 수행 중 심박수를 측정하였다. 걷기 운동은 4·5·6·7km/h, 달리기 운동은 7·8·9·10km/h로 각 속도별로 5분씩 실시되었으며, 속도 단계별 중간 휴식 없이 진행되었다. 운동 중 측정된 심박수를 활용하여 정의된 방식을 통해 심박수 파라미터(HRsat, HRR, %HRR)를 도출하여 AT 추정 회귀분석에 사용되었다. 산출된 속도 단계별 심박수 파라미터와 상관분석을 통해 산출된 각 개인 특성(키, 체중, BMI, BSA, VO2max 등)을 이용하여 중다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모든 운동 속도별로 유의한 수준의 AT 추정 회귀 방정식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개인은 운동의 종류와 운동 속도를 선택하여 운동 프로토콜 수행 후, 운동 중 측정된 심박수와 AT 추정 회귀 방정식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AT를 추정하는 것에 활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e AT during exercise according to speed using the HR measured during walking and running exercis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60 subjects and to measure the physical strength reference of all subjects, Bruce protocol was conduct ed. The walking and running exercises on treadmill were conducted according to speed. HR parameter was drawn and used for AT estimated regression analysis in a way as defined by utilizing HR measured during exercise. Each individual's differences such as height/weight/BMI/BSA/VO2max, through HR parameter and its correlation to each speed level were used for a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AT estimated regression equation was calculated in an equivalent level to each exercise speed. As a result, each individual can select the type and speed of exercise, perform each exercise, and make use of HR measured during exercise and AT estimated regression equation for an easy and simple measurement of AT. KCI Citation Count: 1
ISSN:1226-1726
2384-0544
DOI:10.15857/ksep.2010.19.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