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러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의 ACTN-3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근기능 및 유·무산소성 능력

변재경, 박순희. 롤러스피드스케이팅 선수들의 ACTN-3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근기능 및 유·무산소성 능력. 운동과학, 제21권 제3호. 319-330, 2012. 본 연구는 롤러스피드스케이팅 선수의 ACTN-3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근기능 및 무산소성 파워 능력을 규명하기 위해 남·여 우수선수 55명을 대상으로 ACTN-3 유전자 다형성에 대해 PCR을 통해서 RR, RX, XX type을 결정하였다. 피험자들의 등속성 슬관절 근기능은 좌·우측 굴근과 신근의 최대근력(peak torque)과 총운동량(Total work)을 분석하...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Exercise science (Seoul, Korea) 2012, 21(3), , pp.319-330
Hauptverfasser: 변재경, 박순희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변재경, 박순희. 롤러스피드스케이팅 선수들의 ACTN-3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근기능 및 유·무산소성 능력. 운동과학, 제21권 제3호. 319-330, 2012. 본 연구는 롤러스피드스케이팅 선수의 ACTN-3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근기능 및 무산소성 파워 능력을 규명하기 위해 남·여 우수선수 55명을 대상으로 ACTN-3 유전자 다형성에 대해 PCR을 통해서 RR, RX, XX type을 결정하였다. 피험자들의 등속성 슬관절 근기능은 좌·우측 굴근과 신근의 최대근력(peak torque)과 총운동량(Total work)을 분석하였으며, 유산소성 능력은 Bruce Protocol로 최대운동부하검사를 실시하여 VO2max(최대산소섭취량), HRpeak(최고심박수) AT (무산소성 역치), AT- % VO2max(최대산소섭취량의 백분율)를 분석하였다. 또한 무산소성 파워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Wingate 측정법으로 30초간 측정하여 최대파워(peak power), 평균파워(mean power), 피로지수(fatigue index)를 분석하였다. 롤러스피드 스케이팅 유전자 빈도분포는 단거리 선수들에서 RR형과 RX형의 분포가 높으며 장거리 선수들은 XX형이 다소 높은 경향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무산소성 능력에서는 RR형이 XX형 보다 높고 유산소성 능력은 XX형이 RR형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ACTN-3 유전자의 다형 성중 RR형 유전자형은 무산소성 파워능력이 경기력 결정 요인이 되는 운동종목에 유리한 유전자형이고, XX형 유전자형은 유산소성 능력을 발휘해야 하는 종목에 유리한 유전자형이라 판단할 수 있으며 특히 롤러스피드스케이팅 선수들에게 있어서 유·무산소성의 운동수행능력을 예측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Byeon, J. K., Park, S. H. Muscular function, aerobic and anaerobic capacity to ACTN-3 polymorphism of Roller speed skaters. Exercise Science. 21(3): 319-330, 20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uscle function, anaerobic power capacity and aerobic capacity depending on ACTN-3 gene polymorphism of speed roller skaters. RR, RX, and XX types were determined through PCR in 29 male and 26 female elite players.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of the knee joint for sprint and long-distance events was measured by the peak torque and the total work through left and right flexors and extensors, respectively, at 60 °/sec for 5 repetitions and 180 °/sec for 26 repetitions. Anaerobic power capacity, peak power, mean power, and fatigue index were analyzed using the Wingate measurement method over 30 seconds. Aerobic capacity, VO2max, HRpeak, and AT level were analyzed by using Bruce protocol of maximal treadmill test. As a result, this study came to the following findings:sprinters in speed roller skating have a higher RR and RX frequency, whereas long-distance skaters have a higher XX frequency. In addition, RR skaters showed better anaerobic capacity than XX skaters, whereas XX skaters showed better aerobic capacity than RR skaters. Among all ACTN-3 gene polymorphisms, RR genotype is advantageous to sport events in which anaerobic power capacity works as a determinant of performance, while XX genotype is advantageous to sport events in which aerobic capacity is required to improve performance. Therefore, these two types of ACTN-3 gene polymorphism maybe appropriate for forecasting speed roller skater
ISSN:1226-1726
2384-0544
DOI:10.15857/ksep.2012.21.3.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