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재상황의 초고층 건물 진입에 따른 소방공무원의 생리학적 반응

본 연구는 가상화재상황의 초고층 건물 진입에 따른 소방공무원의 생리학적 반응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남자 소방공무원 8명(구조대원 6명, 화재 진압대원 2명, 31.9±4.4세)을 대상으로 초고층 건물 진입(HB: entry of high-rise building), 가상화재상황의 초고층 건물 진입(SF: simulated fire-fighting), 비교처치(CON: gym suit)의 3가지 처치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화재상황의 초고층 건물 진입에 따른 산소섭취량은 소방장비착용과 비교처치와...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Exercise science (Seoul, Korea) 2014, 23(3), , pp.267-274
1. Verfasser: 유동훈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본 연구는 가상화재상황의 초고층 건물 진입에 따른 소방공무원의 생리학적 반응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남자 소방공무원 8명(구조대원 6명, 화재 진압대원 2명, 31.9±4.4세)을 대상으로 초고층 건물 진입(HB: entry of high-rise building), 가상화재상황의 초고층 건물 진입(SF: simulated fire-fighting), 비교처치(CON: gym suit)의 3가지 처치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화재상황의 초고층 건물 진입에 따른 산소섭취량은 소방장비착용과 비교처치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심박수는 처치와 시기의 주 효과, 처치와 시기의 상호작용효과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3, 9, 12, 15분에서 HB와 SF는 CON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심부온도는 시기의 주 효과와 상호작용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처치의 주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12, 15분에서 SF는 HB와 CON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피부온도는 처치와 시기의 주 효과, 처치와 시기의 상호작용효과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3, 6, 9, 12, 15분에서 SF는 HB와 CON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운동자각도는 처치와 시기의 주 효과, 처치와 시기의 상호작용효과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6, 9, 12, 15분에서 SF는 CON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고층 건축물 가상화재상황에서 소방 활동 시 생리학적 변화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추후 대규모 소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화재상황에서 안전한 임무 수행을 위한 체력의 기준이 제시되어야 한다고 사료되며, 다양한 소방 활동 임무와 생리학적 변인에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ire-fighters' physiological response in case of simulated fire-fighting of high-rise building. Eight male fire fighters (6 rescue workers, 2 fire suppression workers; 31.9±4.4 y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participants performed under the three conditions (HB: entry of high-rise building, SF: simulated fire-fighting, CON: gym sui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xygen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F and CON. Secondly, heart rates showed difference in both main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 of treatment and time. HB and SF were higher than CON at 3, 9, 12, and 15 min. Thirdly, tympanic temperatu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main effect of time and interaction effect of treatment and time. SF was higher than HB and CON at 12, 15 min. Fourth, skin temperature showed difference in both main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 of treatment and time. SF was higher than HB and CON at 3, 6, 9, 12, and 15 min. Lastly,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main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 of treatment and time. SF was higher than CON at 6, 9, 12, and 15 min. Physical standard of fire-fighters based on this study will be suggested in order to provide the guideline for their job safety. Further research on physiological variables during various fire-fighting tasks should also be carried out for more systematic physical guideline to enhancing fire-fighters' job safety. KCI Citation Count: 8
ISSN:1226-1726
2384-0544
DOI:10.15857/ksep.2014.23.3.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