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ennan에 의한 애착유형과 분노표현방식과의 관계

본 연구는 애착유형과 분노표현 방식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대학생 94명, 직장인 35명, 자녀를 둔 어머니 65명 등 총 194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성인애착유형 질문지(ECR;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를 실시하여 애착유형을 분류였다. 아울러 분노표현의 방식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분노표현 질문지(SECS; Self-expression & Control Scale)를 실시하였다. 각 애착유형별로 분노표현방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안정형 집단은 통제된 분...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Seuteureseu yeon-gu (Online) 2009, 17(1), , pp.35-44
Hauptverfasser: 송수미(Su-Mi Song), 현명호(Myoung-Ho Hyun), 윤미숙(Mi-Sook Yun)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본 연구는 애착유형과 분노표현 방식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대학생 94명, 직장인 35명, 자녀를 둔 어머니 65명 등 총 194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성인애착유형 질문지(ECR;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를 실시하여 애착유형을 분류였다. 아울러 분노표현의 방식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분노표현 질문지(SECS; Self-expression & Control Scale)를 실시하였다. 각 애착유형별로 분노표현방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안정형 집단은 통제된 분노의 내현화 점수가 가장 높았고, 불안정형 집단의 경우에는 몰입형, 거부형, 두려움형 모두 분노의 내현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애착유형에 따른 분노표현방식의 세대 간 차이를 알아보았는데, 애착유형의 경우에는 30∼40대 집단에 비해 10∼20대 집단에서 두려움형의 비율이 두드러지게 높게 나타났고, 분노표현방식에 있어서는 10∼20대에 비해 30∼40대가 내/외현적으로 경험되는 분노를 더 효과적이고 적절한 방식으로 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불안정한 애착유형이 스트레스 상황 속에서의 부정적 감정에 대한 대처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봄으로써 애착체계의 중요성과 심리증상과의 연관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고, 아울러 사회변화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세대 간 모자관계의 애착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ode of anger expression according to different adult attachment styles suggested Brennan et al. (1998).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4 adult who were given self report measure of adult attachment styles and anger expression. They were divided into secure, dismissing, preoccupied, fearful attachment groups. The data was according to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nger expression according to different adult attachment styles. There were relatively high CAI (control-anger-in) scores in secure group, whereas the dismissing, preoccupied, fearful groups showed relatively high AI (anger-in) scores. In the cases of the secure attachment style groups, they could effectively control over the internalization of anger. But insecure group exhibited unilateral repression and the internalization of anger.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re was a generational difference in the mode of anger expression according to different adult attachment styles. In 10s∼20s group, proportion of fearful attachment style was more than 30s∼40s group. In 30s∼40s group, they could relevantly control over the internalization/externalization of anger more than 10s∼20s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Korean J Str Res 2009;17:35∼44) KCI Citation Count: 7
ISSN:1225-665X
2234-16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