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대생의 자기애 및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심리적 스트레스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자기애 성향과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에서의 스트레스 및 심리적 스트레스와 어떻게 관계하고 있는지를 검증하였고,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자기애의 상호작용효과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여대생 454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만 18세에서 31세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자기애성 성격질문지,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척도 그리고 스트레스반응척도이다. 분석 결과, 여성의 자기애는 자아존중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상관분석에서 여성의...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Seuteureseu yeon-gu (Online) 2010, 18(4), , pp.371-378 |
---|---|
Hauptverfasser: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자기애 성향과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에서의 스트레스 및 심리적 스트레스와 어떻게 관계하고 있는지를 검증하였고,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자기애의 상호작용효과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여대생 454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만 18세에서 31세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자기애성 성격질문지,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척도 그리고 스트레스반응척도이다. 분석 결과, 여성의 자기애는 자아존중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상관분석에서 여성의 자기애는 대인관계 스트레스나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 중에 공격성 및 분노와는 관계가 없었으나 우울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런데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자아존중감에 더해 여성의 자기애가 추가적으로 대인관계 스트레스나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들 모두를 유의하게 정적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이는 자아존중감의 긍정적 영향을 보정할 경우 여성의 자기애가 스트레스를 조장할 수 있다는 결과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자기애의 상호작용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여성의 자기애와 자아존중감의 특성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narcissism and self-esteem are related to interpersonal stresses and psychological stress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narcissism in interpersonal stresses and psychological stresses. The participants were 454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ages ranged from 18 to 31.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Rosenberg's Self-Esteem Scale,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and Stress Response Inventory. Results indicated that women's narcissistic trai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Women's narcissism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interpersonal stresses and some of the psychological stresses, such as aggressiveness and anger in correlational analysis, while it was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However, if it was adjusted by self-esteem in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es, women's narcissism accounted variance of interpersonal stresses and all of the psychological stresses, positively. This means women's narcissism may aggravate some stresses if adjusted the positive effect of self-esteem factors. There were no interac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narcissism in women's interpersonal stresses and psychological stresses. It was discussed roles of women's narcissism and self-esteem with previous studies. (Korean J Str Res 2010;18:371∼378) KCI Citation Count: 14 |
---|---|
ISSN: | 1225-665X 2234-16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