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ㆍ녀 대학생의 신체 이미지, 완벽주의, 강박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남ㆍ녀 대학생의 신체 이미지(신체 이미지 불만족, 신체 이미지 중요성), 다차원적 완벽주의(자기 지향적 완벽주의, 타인 지향적 완벽주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강박증 및 우울의 차이를 규명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ㆍ녀 대학생 593명(남자 대학생 311명, 여자 대학생 282명)을 성별에 따라 일반적 특성에 대한 기술통계와 Chi-square test를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른 신체 이미지, 다차원적 완벽주의, 강박증 및 우울 정...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Seuteureseu yeon-gu (Online) 2013, 21(1), , pp.1-11
1. Verfasser: 양경미(Kyoung Mi Ya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본 연구는 남ㆍ녀 대학생의 신체 이미지(신체 이미지 불만족, 신체 이미지 중요성), 다차원적 완벽주의(자기 지향적 완벽주의, 타인 지향적 완벽주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강박증 및 우울의 차이를 규명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ㆍ녀 대학생 593명(남자 대학생 311명, 여자 대학생 282명)을 성별에 따라 일반적 특성에 대한 기술통계와 Chi-square test를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른 신체 이미지, 다차원적 완벽주의, 강박증 및 우울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고, 제반 변수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신체 이미지 불만족에 대한 전체 평균을 측정한 결과 남학생 2.86점, 여학생 3.45점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신체 이미지에 대한 불만족이 더 높았다. 남학생은 복부, 근육지수, 가슴 순으로 신체 이미지 불만족이 높았고, 여학생은 허벅지, 복부, 엉덩이 순으로 신체 이미지에 대한 불만족이 높았다. 남학생의 경우 우울은 신체 이미지 불만족과 강박증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다차원적 완벽주의,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학생의 경우 우울은 신체 이미지 불만족,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강박증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남자 대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요인은 신체 이미지 불만족과 강박증으로 나타났으며 18.0%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여자 대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요인은 전공, 신체 이미지 불만족,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강박증으로 23.2%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남ㆍ녀 대학생의 신체 이미지 불만족, 완벽주의, 강박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의미있는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신체 이미지 불만족과 강박증을 완화 시키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하여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correlation of body image, obsessive compulsion, and perfectionism with the incidence of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design was used. A convenience sample consisting of 593 (311 male, 282 female) university students recruited from four universities was established. The SPSS Win20.0 program was used for descriptive analysis, t-test, Chi-squar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In the male subjects,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ody image dissatisfaction (r=.210, p=.000) and obsessive compulsion (r=.326, p=.000),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oriented perfectionism (r=−.202, p=.000). The main factors that were found to contribute to depression were body image dissatisfaction (β=.215, p=.000) and obsessive compulsion (B=.338, p=.000). In the female subjects,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ody image dissatisfaction (r=.311, p=.000),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r=.283, p=.000),and obsessive compulsion (r=.372, p=.000). The main factors that were found to contribute to depression were Major (β=−.113, p=.038), body image dissatisfaction (β= .239, p=.000),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β=.127, p=.028), and obsessive compulsion (β=.328, p=.000). It was found in this study that body image dissatisfaction and obsessive compulsion contribute most to the incide
ISSN:1225-665X
2234-16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