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몰입이 스트레스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몰입의 조절효과와 대처방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몰입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몰입의 스트레스 완충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268명에게 일반적 몰입기질척도-2 (General Dispositional Flow Scale-2), 정서질문지(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 삶 만족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지각된 스트레스척도(Perceived Stress Scale), 스트레스 대처방식척도(Ways of Coping Questionnaire)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몰입을 자주 경험할수록...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Seuteureseu yeon-gu (Online) 2013, 21(4), , pp.283-292 |
---|---|
Hauptverfasser: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연구에서는 몰입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몰입의 스트레스 완충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268명에게 일반적 몰입기질척도-2 (General Dispositional Flow Scale-2), 정서질문지(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 삶 만족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지각된 스트레스척도(Perceived Stress Scale), 스트레스 대처방식척도(Ways of Coping Questionnaire)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몰입을 자주 경험할수록 높은 인지적ㆍ정서적 안녕감을 경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고-몰입 집단보다 저-몰입 집단에서 스트레스와 인지적 안녕감의 부적상관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 몰입의스트레스 완충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정서적 안녕감에서 몰입의 스트레스 완충효과는 지지되지 않았다.
한편, 몰입을 자주 경험할수록 적응적인 문제중심 대처를 더 많이 사용하였고, 이러한 대처방략을 통해 인지적ㆍ정서적 안녕감을 이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몰입이 안녕감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고 그과정을 설명하였으며 몰입 경험이 행복한 삶을 이끌고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일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low on a person’s well-being and stress-buffering ability. General- Dispositional Flow Scale-2,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Perceived Stress Scale, Ways of Coping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a sample of 268 undergraduate students. Results showed that the disposition toward flow was associated with cognitive and emotional well-being and negative correlation of the stress and cognitive well-being was remarkable for low-flow group. These results confirm the flow's stress buffering effect on cognitive well-being. However, this effect on emotional well-being was not verified. Participants who experience flow frequently use problem-focused coping and this coping strateg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flow and cognitive and emotional well-being. These results confirm the function of flow for subjective well-being and suggest flow experience is an effective way of the happier life. (Korean J Str Res 2013;21:283∼292) KCI Citation Count: 21 |
---|---|
ISSN: | 1225-665X 2234-16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