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스프레이 제품의 안전성 조사: 벤젠과 톨루엔 함량을 중심으로

Many kinds of liquid spray products are used in livelihood activities these days. Spray products can be distinguished by the target to be sprayed (like into the air or on human skin (body)). Because human can be exposed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emitted from spray products, some considerat...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Punsŏk kwahak 2013, 26(4), , pp.268-275
Hauptverfasser: 조효재, 김보원, 김용현, 이민희, 조상희, 김기현, 김준영, 박준호, 오수민, 이승환, 김동연, Jo, Hyo-Jae, Kim, Bo-Won, Kim, Yong-Hyun, Lee, Min-Hee, Jo, Sang-Hee, Kim, Ki-Hyun, Kim, Joon-Young, Park, Jun-Ho, Oh, Soo-Min, Lee, Seung-Hwan, Kim, Dong-Yeon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Many kinds of liquid spray products are used in livelihood activities these days. Spray products can be distinguished by the target to be sprayed (like into the air or on human skin (body)). Because human can be exposed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emitted from spray products, some considerations on safety or hazard of spray products should be needed. In this study, emission characteristics of VOCs were investigated against 10 types of liquid spray products (6 skin spray and 4 air spray products). The concentrations of benzene and toluene were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equipped with a thermal desorber (TD). Their average concentrations from 6 skin spray products exhibited$ 5.64{\pm}1.95$ ($mean{\pm}S.D$) and $8.52{\pm}2.89$ ppb(w), respectively. In contrast, those of 4 air spray samples had $7.30{\pm}1.31$ and $7.19{\pm}1.78$ ppb(w), respectively. If liquid contents in spray samples are completely vaporized in one cubic meter (1 m3) after spraying for 10 seconds, their mean concentrations of skin spray products are $31.7{\pm}8.80$ (benzene) and $50.5{\pm}17.1{\mu}g/Sm^3$ (toluene). In contrast, those of air spray products are $24.0{\pm}4.30$ (benzene) and $23.6{\pm}5.83{\mu}g/Sm^3$ (toluene). The estimated concentration levels of benzene from two types of products (31.7 and $24.0{\mu}/Sm^3$) exceeded the Korean atmospheric environmental guideline ($5{\mu}g/Sm^3$). The results of this study thus suggest that some measures should be made to reduce or suppress the contents of VOC in spray products. 최근 생활 스프레이 제품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스프레이 제품은 크게 공기중으로 분사하거나 인체에 직접 분사하는 제품으로 나눌 수 있다. 스프레이 제품 내 존재하는 물질들은 분사함과 동시에 인체에 흡입 및 피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물질에 대한 안전성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환경에서 주로 사용하는 10 가지 종류의 스프레이 제품 내 발암물질로 잘 알려진 벤젠과 인체 악영향을 줄 수 있는 톨루엔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10 가지 제품에서 모두 벤젠과 톨루엔을 검출하였다. 피부에 분사하는 6 종의 제품에서 벤젠은 평균$ 5.64{\pm}1.95$ ppb(w), 톨루엔은 평균 $8.52{\pm}2.89$ ppb(w) 농도수준으로 검출하였다. 공기중으로 분사하는 4종의 제품에서는 벤젠과 톨루엔이 각각 $7.30{\pm}1.31$ ppb(w), $7.19{\pm}1.78$ ppb(w) 농도로 검출하였다. 이들을 10초간 1 입방미터에 분사하여 완전 기화한다고 가정할 경우, 6 종의 제품에서 벤젠은 평균 $31.7{\pm}8.80{\mu}g/Sm^3$, 톨루엔은 평균 $50.5{\pm}17.1{\mu}g/Sm^3$ 농도수준으로 검출하였다. 공기 중으로 분사하는 4 종의 제품에서는 벤젠과 톨루엔이 각각 $24.0{\pm}4.30{\mu}g/Sm^3$, $23.6{\pm}5.83{\mu}g/Sm^3$ 농도로 검출하였다. 10 가지 스프레이제품에서 발생한 벤젠의 경우, 우리나라 대기환경 기준치인 $5{\mu}g/Sm^3$을 초과한 수치에 해당한다. 생활환경 내 스프레이제품의 사용에 주의가 요구된다.
ISSN:1225-0163
2288-8985
DOI:10.5806/AST.2013.26.4.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