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위해평가-2013년

본 연구는 국내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를 조사파악하고, 위해평가 등의 안전성 평가를 수행한 후 정부차원에서의 식품위생/안전 정책 수립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시료 수거는 인구 백만 이상의 전국 9개 지역(서울, 부산, 인천, 대구, 대전, 광주, 울산, 창원 및 수원)을 선정한 후, 다소비 식품 중 대표적인 농산물 15품목(쌀, 감자, 대두, 사과, 배, 오렌지, 복숭아, 딸기, 바나나, 수박, 토마토, 오이, 애호박, 깻잎 및무)을 선별하여 총 232건의 농산물을 수거하였다. 대상 농약은단성분 분석으로 가능한...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14, 57(3), , pp.235-242
Hauptverfasser: 김재영, Jae Young Kim, 이상목, Sang Mok Lee, 이한진, Han Jin Lee, 장문익, Moon Ik Chang, 강남숙, Nam Sook Kang, 김남선, Nam Sun Kim, 김희정, Hee Jung Kim, 조윤제, Yoon Jae Cho, 정지윤, Ji Yoon Jeong, 김미경, Mee Kyung Kim, 이규식, Gyu Seek Hee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본 연구는 국내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를 조사파악하고, 위해평가 등의 안전성 평가를 수행한 후 정부차원에서의 식품위생/안전 정책 수립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시료 수거는 인구 백만 이상의 전국 9개 지역(서울, 부산, 인천, 대구, 대전, 광주, 울산, 창원 및 수원)을 선정한 후, 다소비 식품 중 대표적인 농산물 15품목(쌀, 감자, 대두, 사과, 배, 오렌지, 복숭아, 딸기, 바나나, 수박, 토마토, 오이, 애호박, 깻잎 및무)을 선별하여 총 232건의 농산물을 수거하였다. 대상 농약은단성분 분석으로 가능한 생장조정제 3종(dichlorprop, ethychlozate및 6-benzylaminopurine) 및 다종다성분 분석 농약 280종, 총283종을 선정하여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농약들은 모니터링에 앞서 분석법을 개선하고 분석검체를 대표할 수 있는 농산물에 적용하여 국제적 기준인 CODEX 분석법가이드라인에 준하여 분석법 검증을 수행한 후, 잔류농약 모니터링 분석법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모니터링에서 검출된 잔류농약을 대상으로 1일 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ADI)대비 1일 추정섭취량(estimated daily intake, EDI) 값으로 위해 평가를 수행하였다.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수거된농산물 총 232건 중 163건(70.3%)에서는 농약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69건(29.7%)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농약중 2건은 MRL을 초과하여 0.9%의 부적합률을 나타내었다. MRL을 초과한 잔류농약은 깻잎에서 검출된 chlorpyrifos와 복숭아에서 검출된 picoxystrobin이었으며, 부적합으로 나타난chlorpyrifos 및 picoxystrobin을 포함한 검출 농약 33종에 대해위해평가를 수행한 결과, ADI 대비 EDI는 0.00087~0.902%의범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검출된 모든 농약은 위해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됐으며, 유통되는 농산물은 잔류농약 측면에서 안전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stablishment ofscientific processes for making food safety policies. Thus, weinvestigated pesticide residue level of the agricultural commoditiesfrom market, and performed risk assessment. Fifteen agriculturalitems are chosen based on the frequency of Korean consumption.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9 cities where populations aremore than one million. Total 283 active ingredients were monitoring( total sample number =232). Single-analysis of target pesticideswas for three kinds of possible growth regulators and the multicomponentanalysis was for 280 kinds of pesticides, a total of 283species were selected to perform the pesticide residues. Beforemonitoring the analytes, the improvements of the analytical methodswere done by method validations under the CODEX analyticalmethod development guidelines and can produce metrics thatrepresent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guidelines. In addition to residual pesticides detected duringmonitoring we compare the ADI to EDI values using detectedresult and dietary consumption data which is extracted fromannual market basket survey. The 163 samples were non-detectedin the total 232 samples so it means that every agriculturalcommodity will residual pesticides-free in 70.3%. The detectedresidual pesticides showed for a total of 69 cases (29.7%). Two ofsamples violate Korean MRL (0.9%). The ratio of EDI comparedto ADI resulted in only from 0.00
ISSN:1976-0442
2234-7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