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 화학 교육 과정에 대한 물리화학적 고찰: (1) 상변화와 상평형
상변화와 상평형은 일상에서 흔히 관찰할 수 있는 현상으로 물질의 변화 속도와 입자적 개념을 비롯한 열역학적 개념을 이해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과학 교육 소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다양한 대안적 개념을 가지고 있고, 중등학교 교사들은 논리적인 설명 방법을 찾지 못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상변화와 상평형을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과정에서 배울 수 있는 화학적 개념을 물리화학적으로 분석하고, 최근에 소개되고 있는 상변화 속도에 바탕을 둔 ‘입자적 개념’의 타당성과 한계점을 확인해본다. The equilibria and cha...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04, 48(3), , pp.300-310 |
---|---|
Hauptverfasser: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상변화와 상평형은 일상에서 흔히 관찰할 수 있는 현상으로 물질의 변화 속도와 입자적 개념을 비롯한 열역학적 개념을 이해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과학 교육 소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다양한 대안적 개념을 가지고 있고, 중등학교 교사들은 논리적인 설명 방법을 찾지 못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상변화와 상평형을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과정에서 배울 수 있는 화학적 개념을 물리화학적으로 분석하고, 최근에 소개되고 있는 상변화 속도에 바탕을 둔 ‘입자적 개념’의 타당성과 한계점을 확인해본다. The equilibria and changes in material phases, which can be observed easily in everyday life, are usefulsubject for teaching the rate of change and the particle nature of matter as well as various thermodynamic concepts. Nev-ertheless, students often develop various alternative views on these phenomena, and teachers are known to experienceconsiderable dificulties in explaining these fundamental physical processes. In this paper, the extent of thermodynamicpoint of view. At the same time, the validity of the so-called ?particle explanationapproach based on the rate of phasechanges wil be examined.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1017-2548 2234-8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