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ZM-9 제올라이트에서 메탄올의 올레핀으로 전환반응: 전이금속 이온 교환이 촉매의 활성저하에 미치는 영향

구리, 코발트, 니켈, 철의 전이금속 이온을 교환한 LTA 골격구조의 UZM-9 제올라이트에서 메탄올이 저급올레핀으로 전환(Methanol-to-Olefin: MTO)되는 반응을 조사하여 전이금속 이온 교환이 촉매의 활성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 였다. 전이금속 이온 교환에 따른 UZM-9의 결정구조, 결정 모양, 세공구조, 산성도 변화는 크지 않았다. UZM-9은 둥 지 입구가 작아 MTO 반응에서 저급올레핀에 대한 선택도가 높지만, 둥지가 커서 활성중간체인 헥사메틸벤젠 등 폴리 메틸벤젠이 쉽게 고리화축합되어 다고리 방향족화합물...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K), 51(2) 2013, 51(2), 277, pp.181-188
Hauptverfasser: 서곤, Gon Seo, 김선중, Sun Jung Kim, 장회구, Hoi Gu Ja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구리, 코발트, 니켈, 철의 전이금속 이온을 교환한 LTA 골격구조의 UZM-9 제올라이트에서 메탄올이 저급올레핀으로 전환(Methanol-to-Olefin: MTO)되는 반응을 조사하여 전이금속 이온 교환이 촉매의 활성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 였다. 전이금속 이온 교환에 따른 UZM-9의 결정구조, 결정 모양, 세공구조, 산성도 변화는 크지 않았다. UZM-9은 둥 지 입구가 작아 MTO 반응에서 저급올레핀에 대한 선택도가 높지만, 둥지가 커서 활성중간체인 헥사메틸벤젠 등 폴리 메틸벤젠이 쉽게 고리화축합되어 다고리 방향족화합물이 많이 생성되므로 활성저하가 빠르다. 그러나 구리와 코발트 이온을 교환하면 MTO 반응에서 UZM-9의 활성저하가 느려졌다. MTO 반응 중 생성되는 폴리메틸벤젠 양이온 라디 칼과 전이금속 이온의 상호작용으로 활성중간체가 안정화되어 활성저하가 느려졌다. The effect of transition metal ion exchange into UZM-9 zeolite with LTA framework on its deactivation in methanol-to-olefin (MTO) conversion was discussed. The ion exchange of copper, cobalt, nickel, and iron did not induce any notable change in the crystallinity, crystal morphology, and acidity of UZM-9. The small cage entrance of UZM-9 caused the high selectivity to lower olefins in the MTO conversion, while its large cages allowed the rapid further cyclecondensation of active intermediates, polymethylbenzenes including hexamethylbenzene, resulting in a rapid deactivation. The UZM-9 containing copper and cobalt ions showed considerably slow deactivations. The interaction between transition metal ions and polymethylbenzene cation radicals, the active intermediates, generated in the MTO conversion stabilized the radicals and slowed down the deactivation of UZM-9.
ISSN:0304-128X
2233-9558
DOI:10.9713/kcer.2013.51.2.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