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나듐 레독스-흐름 전지에서 집전체의 전기화학적 특성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용 MEA(Membrane and Electrode Assembly)와 가축분뇨를 이용해 미생물연료전지(MFC)를 구동하였다. 여러 균을 혼합해 MFC를 구동했을 때 개별적으로 구동했을 때보다 높은 개회로 전위(OCV)를 나타냈다. 돼지분뇨, 소분뇨, 닭분뇨, 오리 분뇨 중 돼지 분뇨를 이용했을 때 제일 높은 OCV 540mV를 보였다. 그리고 돼지분뇨에서 최고 963mW/m2의 전력이 발생하였다. MFC 구동과정에서 MEA의 Na2+, Ca2+, K+ 이온 및 불순물들에 의한 오염이 MFC의 낮은 성능의 한 원...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K), 52(2) 2014, 52(2), 283, pp.182-186
Hauptverfasser: 최호상, Ho Sang Choi, 황갑진, Gan Jin Hwang, 오용환, Yong Hwan Oh, 유철휘, Cheol Hwi Ryu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용 MEA(Membrane and Electrode Assembly)와 가축분뇨를 이용해 미생물연료전지(MFC)를 구동하였다. 여러 균을 혼합해 MFC를 구동했을 때 개별적으로 구동했을 때보다 높은 개회로 전위(OCV)를 나타냈다. 돼지분뇨, 소분뇨, 닭분뇨, 오리 분뇨 중 돼지 분뇨를 이용했을 때 제일 높은 OCV 540mV를 보였다. 그리고 돼지분뇨에서 최고 963mW/m2의 전력이 발생하였다. MFC 구동과정에서 MEA의 Na2+, Ca2+, K+ 이온 및 불순물들에 의한 오염이 MFC의 낮은 성능의 한 원인임을 확인하였다. Two commercial carbon plates were evaluated as a current collector (bipolar plate) in the all vanadium redox flow battery (V-RFB). The performance properties of V-RFB were test in the current density of 60 mA/cm2. The electromotive forces (OCV at SOC 100%) of V-RFB using A and B current collector were 1.47 V and 1.54 V. The cell resistance of V-RFB using A current collector was 4.44~5.00 Ω·cm2 and 3.28~3.75 Ω·cm2 for charge and discharge, respectively. The cell resistance of V-RFB using B current collector was 4.19~4.42Ω·cm2 and 4.71~5.49Ω·cm2 for charge and discharge, respectively. The performance of V-RFB using each current collector was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V-RFB using A current collector was 93.1%, 76.8% and 71.4% for average current efficiency, average voltage efficiency and average energy efficiency, respectively. The performance of V-RFB using B current collector was 96.4%, 73.6% and 71.0% for average current efficiency, average voltage efficiency and average energy efficiency, respectively.
ISSN:0304-128X
2233-9558
DOI:10.9713/kcer.2014.52.2.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