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과 수박 수직재배를 위한 지주유형 및 착과방법
한국의 수박 소비형태는 씨없는 수박, 컬러 수박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수박 품종을 선호하고, 대형과에서 소형과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고품질 소형과 수박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수직재배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수박 품종은 ‘리코후레쉬2호(2배체)’와 ‘블랙보이(3배체)’이고, 수직지주유형은 I자형, ∩자형, 반포복형,포복형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주간거리는 20cm, 30cm, 40cm로 나누어 생육과 수량을 비교하였다. 착과화방(착과절위)은 2(12 ‑ 16), 3(19 ‑ 23)...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Weon'ye gwahag gi'sulji 2020, 38(2), , pp.177-186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한국의 수박 소비형태는 씨없는 수박, 컬러 수박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수박 품종을 선호하고, 대형과에서 소형과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고품질 소형과 수박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수직재배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수박 품종은 ‘리코후레쉬2호(2배체)’와 ‘블랙보이(3배체)’이고, 수직지주유형은 I자형, ∩자형, 반포복형,포복형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주간거리는 20cm, 30cm, 40cm로 나누어 생육과 수량을 비교하였다. 착과화방(착과절위)은 2(12 ‑ 16), 3(19 ‑ 23), 4(26 ‑ 30)번 암꽃으로 각 암꽃에 1과를 착과시켰다. 연구결과 소형과 수박 수직재배기술은 다음과 같다. 수직재배 지주형태는 I자형이고, 주간거리는 20cm로 정식하여 재배하고, 줄기는 절화망을 사용하여 두 줄기 유인재배 하였다. 착과는 3번 암꽃에 수정시키고, 적심방법은 3번 암꽃이 피기 2일 전 줄기 끝의 생장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개발된 수직재배법으로 재배할 경우 6m 폭의 단동형 비닐온실에 3,000주/10a가 재식 된다. 그 결과 10a의 재배면적에서 상품성 있는 수량은 포복재배와 비교하여 ‘리코후레쉬2호’는 2.6배, ‘블랙보이’는 2.9배 증가했다. 소형과 수박을 I자형 수직 재배법으로 재배할 경우 규격과를 대량 생산할 수 있어 농가 소득이 증대된다. 또한 쪼그려 앉아 하는 관행 포복재배에 비해 서서하는 작업으로 노동형태가 개선되어 노동강도가 낮아져 작업효율이 향상될 것으로 사료된다. Korean consumers prefer various types of watermelons such as the seedless or colored ones, but,nowadays, large-sized watermelons are produced more than the small-sized ones. In order to satisfyall consumer needs, this research developed a vertical cultivation method that enables mass-productionof high-quality small-sized watermelons. The watermelon varieties used in this study are “LycofreshNo. 2” (diploid) and “Black Boy” (triploid), and the vertical pillar types were evaluated afterdividing them into different types, such as I-type, Ո-Type, semi-runner type and runner type. As forthe planting distances, plant growth yields were compared among the following categories: 20 cm,30 cm, and 40 cm. The fruit setting method was performed for female flowers No. 2 (12 - 16), No.
3 (19 - 23), and No. 4 (26 - 30) node positions. As a result, small-sized watermelon verticalcultivation technology was established as follows. Using the I-type, the cultivations were planted ata distance of 20 cm. A stem was cultivated using two stalks and an induction net. The fruit settingposition was the third female flower, and the shoot apex was removed through a pruning method atthe end of the stem, 2 days before the female flowers bloomed. The vertical cultivation methoddeveloped in this study makes it possible to cultivate 3,000 plants/10 acres in a 6 m single span-typegreenhouse. Thus, the marketable yield of ‘Lycofresh No.2’ increased 2.6 times and that of‘BlackBoy’ increased 2.9 time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ultivation type (runner type), ina cultivation area of 10 acres. Growing small-sized watermelons with I-type vertical cultivationincreases the yield and, consequently, the farmer’s income. In addition, the change of |
---|---|
ISSN: | 1226-8763 2465-8588 |
DOI: | 10.7235/HORT.20200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