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술에 의한 양안 안구천공
목적: 안구주위 침술에 의해 양안 안구천공 및 유리체출혈이 발생한 환자의 우안에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하고, 좌안에 유리체절제술 없이 레이저광응고술 치료를 시행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58세 여자 환자가 양안의 통증 및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4일 전 무자격자에 의하여 양안 안구 주위에 침을 맞았다고 하였다. 안저검사에서 양안 유리체출혈, 초음파검사에서 유리체혼탁이 관찰되었다. 침에 의해 발생한 안구천공 및 유리체출혈을 진단하였다. 우안은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좌안은 환자 요청하에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하지...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20, 61(4), , pp.439-443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안구주위 침술에 의해 양안 안구천공 및 유리체출혈이 발생한 환자의 우안에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하고, 좌안에 유리체절제술 없이 레이저광응고술 치료를 시행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58세 여자 환자가 양안의 통증 및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4일 전 무자격자에 의하여 양안 안구 주위에 침을 맞았다고 하였다. 안저검사에서 양안 유리체출혈, 초음파검사에서 유리체혼탁이 관찰되었다. 침에 의해 발생한 안구천공 및 유리체출혈을 진단하였다. 우안은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좌안은 환자 요청하에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하지 않았다. 수술 중 우안 망막이측 및 하측에 열상 부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좌안은 안저검사에서 망막 이측 및 하측에 망막출혈 부위를 확인하고, 병변 주변에레이저광응고술을 시행하였다. 3개월 후 우안은 황반부종 없이 시력 0.5로 측정되었고, 좌안은 황반부종 소견이 관찰되며 시력 0.01로 측정되었다.
결론: 침술에 의한 안구천공으로 양안 유리체출혈이 발생한 환자의 증례를 목격하였으며, 동일 환자에서 각각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한 눈과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하지 않은 눈의 결과를 비교할 수 있는 경험을 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하지 않은 눈에 비해 시행한 눈의 시력 회복에 더 좋은 경과를 보였다. 따라서 안구천공 환자에서 유리체절제술 시행을 고려해야 한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both ocular perforation due to periocular acupuncture therapy with vitrectomy in the right eye and barrier laser photocoagulation without vitrectomy in the left eye.
Case summary: A 58-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ocular pain and decreased visual acuity in both eye. She had received periocular acupuncture therapy 4 days earlier. Dilated fundoscopy revealed vitreous hemorrhage. B-scan ultrasonography revealed vitreous opacity. Thus, at the request of the patient, vitrectomy was performed in only the right eye, and did not performed in the left eye. Intraoperatively, we identified retinal laceration in the temporal and inferior retina. In the left eye, the sites of retinal hemorrhage were observed in the temporal and inferior retina in the fundus examination, and a barrier laser photocoagulation was performed around the lesion. At the three-month postoperative follow-up, the patient’s visual acuity was 0.5 in the right eye without macular edema. In the left eye, visual acuity was 0.01 with macular edema observed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onclusions: Authors present a case of a patient with vitreous hemorrhage and ocular perforations caused by periocular acupuncture therapy in both eye, able to compare the results of eyes that performed vitrectomy and that did not performed vitrectomy in a same patient. The recovery of visual acuity in eye that performed vitrectomy was better than eye that did not performed vitrectomy. Therefore, we consider performing vitrectomy in patients with eye perforation.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