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암에서 miRNA 146a/b, 221 및 222의 발현에 대한 연구

연구배경: 최근 들어, miRNAs을 진단 표지자 또는 치료표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수행 중이다. 그러나, 갑상선 암에서 이들 miRNAs와 관련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갑상선암에서 증가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는 miRNA 146a/b, 221 및 222과 성장인자 또는 종양 유전자와의 연관성을 조사하고, 이들 miRNAs가 예후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성장신호 및 종양유전자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NPA 세포주에 10% 우태아혈청을 처리하거나 HEK293T 세포...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Endocrinology and metabolism (Seoul) 2009, 24(1), , pp.17-24
Hauptverfasser: 조영석, Young Suk Jo, 이인석, Ihn Suk Lee, 홍우정, Woo Jeong Hong, 송인상, In Sang Song, 김제룡, Je Ryoung Kim, 송민호, Min Ho Sho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연구배경: 최근 들어, miRNAs을 진단 표지자 또는 치료표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수행 중이다. 그러나, 갑상선 암에서 이들 miRNAs와 관련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갑상선암에서 증가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는 miRNA 146a/b, 221 및 222과 성장인자 또는 종양 유전자와의 연관성을 조사하고, 이들 miRNAs가 예후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성장신호 및 종양유전자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NPA 세포주에 10% 우태아혈청을 처리하거나 HEK293T 세포주에 RET/PTC3 또는 BRAF(V600E) 발현 벡터를 형질 도입한 후, pre-miRNAs 146a/b, 221과 222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갑상선 유두암 조직에서 이들 miRNAs의 발현량을 측정한 후 다양한 임상 예후 인자와의 연관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TPC1, NPA, FRO 및 ARO 세포주에서 miRNA-146a/b와 miRNA-221/222가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10% 우태아혈청을 NPA 세포주에 처리할 경우 miRNA-146a과 miRNA-221의 발현이 유도됨을 알 수 있었다. HEK293T 세포주에 RET/PTC3 rearrangement와 BRAF(V600E)을 발현시킨 경우에도 이들 miRNAs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임상 연구에서도 정상 조직과 비교하여 갑상선 유두암의 50% (25예)와 60% (30예)에서 miRNA-146a/b와 miRNA -221/222가 각각 증가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들 miRNAs의 발현 증가와 임상 예후 인자들과의 연관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결론: 갑상선 유두암의 종양 유전자인 BRAF(V600E)와 RET/PTC3 rearrangement에 의해 miRNA 146a/b, 221 및 222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이들 miRNA가 갑상선 유두암의 암화 과정에 관여할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갑상선 유두암 환자의 임상 조직학적 예후인자들과의 연관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Background: miRNAs can be diagnostic markers and therapeutic targets in cancers, bu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yroid cancer.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levels of miRNA 146a/b, 221, and 222 which are important miRNAs in papillary thyroid cancers (PTCa), and verified their impact on clinicopathological factors. Methods: We measured the expression of pre-miRNAs 146a/b, 221, and 222 in NPA cells trea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FBS) or in HEK293T cells transfected with RET/PTC3 or BRAF(V600E) expression vectors. We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iRNA expression levels in thyroid cancer tissue specimens and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Results: Growth stimulation with 10% FBS induced miRNA expressions in NPA cells, and transfection of RET/PTC3 and BRAF(V600E) also increased the expression of these miRNAs in HEK293T cells. Most (25 cases; 50%) of PTCa showed increased expression of miRNA-146a/b and 30 cases (60%) had elevated expression of miRNA-221 and miRNA-222 compared to normal thyroid samples from the contralateral lobe. However, increased miRNA expression did not correlate with clinicopathological factors. Conclusion: Expression of miRNA 146a/b, 221, and 222 was increased by BRAF(V600E) and RET/PTC3 rearrangement and might have a role in tumorigenesis in PTCa. However, expression levels of these miRNAs did not correlate with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of patients with PTCa. (J Kor
ISSN:2093-596X
2093-5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