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발달과정에서 PDGF-C, PDGF-D 그리고 PDGF 수용체의 발현에 대한 연구
목 적: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A와 PDGF-B는 일부 결체조직의 성장, 생존에 관여하며, 각종 암, 동맥경화 그리고 세포증식성 질환과 관련된 성장인자이다. PDGF-A와 B 이외에도 PDGF-C와 PDGF-D가 보고되었는데 PDGF-C는 소화기, 폐 그리고 신장의 metanephric mesenchyme에서 발현하였으며, PDGF-D는 심장, 폐, 신장 그리고 근육에서 발현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신장발달과정에서 PDGF-C와 D의 발현양상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태생 전후의...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2005, 24(2), , pp.170-180 |
---|---|
Hauptverfasser: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 적: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A와 PDGF-B는 일부 결체조직의 성장, 생존에 관여하며, 각종 암, 동맥경화 그리고 세포증식성 질환과 관련된 성장인자이다. PDGF-A와 B 이외에도 PDGF-C와 PDGF-D가 보고되었는데 PDGF-C는 소화기, 폐 그리고 신장의 metanephric mesenchyme에서 발현하였으며, PDGF-D는 심장, 폐, 신장 그리고 근육에서 발현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신장발달과정에서 PDGF-C와 D의 발현양상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태생 전후의 마우스 신장에서 성장인자로서 PDGF-C와 PDGF-D 그리고 PDGF 수용체 (PDGFR)-α, PDGF 수용체-β의 발현양상을 시기적으로 관찰하였다.
결 과:PDGFR-α 단백질은 태생기 18일에 최고로 증가 발현되었고, 태생기 18일째에 신장 피질부의 간질세포에서 발현이 증가되었다. PDGFR-β의 단백질은 태생기 18일에 최고로 증가 발현되었고 이때 metanephric blastema에서 주로 발현이 증가되었다가 신장의 세뇨관이 발달됨에 따라서 생후 1일째 점차 발현이 감소하였다. PDGF-C mRNA는 신장발달 과정중 생후 1일에 최고로 발현되었는데, 위치적으로는 사구체와 집합관에서 발현되었다. PDGF-D mRNA는 생후 7일에 최고로 증가하였으며 성체 신장에서 사구체내의 벽측 상피세포와 일부 상피세포에서 발현하였다.
결 론:이런 결과들로 보아 신장 발달과정에서 발달과정의 신장에 있어서 PDGFR-α, PDGFR-β, PDGF-C 그리고 PDGF-D가 발현양상이 발달시기와 발현부위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Background:Four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 family members have been identified; the classical PDGFs, PDGF-A and PDGF-B, and the novel PDGFs, PDGF-C and PDGF-D, which were only recently discovered.
Methods: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changes of the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 subtypes (C & D) and their receptors (PDGFR)-α & β expression in kidneys during pre- and postnatal development.
Results:All the protein levels of PDGFR-α and -β and the mRNA levels of PDGF-C and D were high in kidneys during the prenatal period and decreased differently during the postnatal period. PDGFR-α was expressed in the interstitial space at embryo day 18. PDGFR-β protein were expressed in metanephric blastema at embryo day 18. PDGF-C mRNA was expressed in metanephric blastema, developing glomerulus at embryo 18 day and in collecting duct at postnatal day 7. PDGF-D mRNA was expressed in the parietal and vesceral epithelial cells during pre and postnatal period.
Conclusion: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DGF subtypes (C & D) and their receptors (PDGFR-α & -β) are differently expressed in the kidney during the prenatal and postnatal period. (Korean J Nephrol 2005;24(2):170-180)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211-9132 2211-91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