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메산지움세포에서 Salicylate가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발현 및 세포 내 Reactive Oxygen Species 형성에 미치는 영향

배 경 : Monocyte chmoattractant protein-1 (MCP-1)과 reactive oxygen species (ROS)는 사구체 손상의 유발 및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자들은 사람의 메산지움세포에서 pro-inflammatory cytokine에 의한 MCP-1 발현 및 lysophosphatidylcholine에 의한 세포 내 ROS 형성에 아스피린의 체내 대사산물인 salicylate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메산지움세포를 salicylate로 전처리 한...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2003, 22(3), , pp.261-272
Hauptverfasser: 정시정, Jeong Si Jeong, 김청수, Kim Cheong Su, 장재원, Jang Jae Won, 김순배, Kim Sun Bae, 이상구, Lee Sang Gu, 박정식, Park Jeong Si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배 경 : Monocyte chmoattractant protein-1 (MCP-1)과 reactive oxygen species (ROS)는 사구체 손상의 유발 및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자들은 사람의 메산지움세포에서 pro-inflammatory cytokine에 의한 MCP-1 발현 및 lysophosphatidylcholine에 의한 세포 내 ROS 형성에 아스피린의 체내 대사산물인 salicylate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메산지움세포를 salicylate로 전처리 한 후 tumor necrosis factor-α(TNF-α)와 interleukin-1β(IL-1β)로 자극하여 salicylate가 MCP-1 발현 및 nuclear factor-κB (NF-κB)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MCP-1 mRNA와 단백의 발현 정도는 각각 Northern blot analysis와 효소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NF-κB의 활성도 및 NF-κB 억제 단백인 IκB-α의 발현은 각각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와 Western blot analysi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Lysophosphatidylcholine에 의한 세포 내 ROS의 형성은 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를 이용하여 flow cytometry로 측정하였다. 결 과 : Salicylate는 TNF-α와 IL-1β에 의한 MCP-1 mRNA 및 MCP-1 단백 발현을 농도에 비례하여 (1-20 mM) 억제하였으며 이런 억제 효과는 cycloheximide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salicylate TNF-α와 IL-1β에 의한 NF-κB의 활성화를 농도에 비례하여 (1-20 mM) 억제하였으며 TNF-α에 의한 IκB-α단백의 분해도 억제하였다. 1 mM 이하의 저 농도 salicylate (0.05-1 mM)도 lysophosphatidylcholine에 의한 세포 내 ROS의 생성을 억제 하였다. 결 론 : Salicylate는 사람의 메산지움세포에서 TNF-α와 IL-1β에 의한 MCP-1 mRNA 및 단백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적어도 일부는 IκB-α단백의 분해 억제 따른 NF-κB의 활성화 억제에 기인하였다. 그러나 이런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1 mM 이상의 고농도의 salicylate가 필요하였다. 반면 lysophosphatidylcholine에 의한 세포 내 ROS 생성 억제 효과는 1 mM 이하의 저농도에서도 관찰할 수 있었다. Background: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lay an important role during glomerular inflammation.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spirin metabolite, salicylate on the pro-inflammatory cytokine-induced MCP-1 expression and lysophosphatidylcholine -induced in-tracellular ROS formation in human mesangial cells. Methods: Cells were pretreated with salicylate, and then timulated with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or interleukin-1β (IL-1β). The expression of MCP-1 mRNA and MCP-1 protein were measured by Northern blot analysis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pectively. Nuclear factor-κB (NF-κB) activity was measured by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Degradation of IκB-α was assessed by Western blot analysis. Intracellular ROS production was monitored by flow cytometry using 2`7`-dichlorofluorescin diacetate. Results: Salicylate inhibited the TNF-α- or IL-1β induced MCP-1 mRNA express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 (1-20 mM) and also suppressed the MCP-1 protein expression. Its effect was not attributable to de novo synthesis of intermediary proteins. Salicylate inhibited the TMF-α- of IL-1β-induced NF-κB binding activity and also sup
ISSN:2211-9132
2211-9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