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특발성 고칼슘뇨증에서 골밀도의 변화
목 적: 특발성 고칼슘뇨증은 소아 혈뇨의 주된 원인 중의 하나로, 이로 인한 골밀도의 감소가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특발성 고칼슘뇨증 환아들의 골밀도 및 골대사 표지자의 변화를 확인하고, 그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특발성 고칼슘뇨증으로 진단된 52례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혈액검사를 통해 골대사 표지자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이 중 21례에 대해서는 진단 당시에, 6례에 대해서는 추적기간 중 골밀도 검사를 시행하여 골밀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성별, 골밀도 검사 결과치, 고칼슘뇨증의...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2007, 26(6), , pp.684-690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 적: 특발성 고칼슘뇨증은 소아 혈뇨의 주된 원인 중의 하나로, 이로 인한 골밀도의 감소가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특발성 고칼슘뇨증 환아들의 골밀도 및 골대사 표지자의 변화를 확인하고, 그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특발성 고칼슘뇨증으로 진단된 52례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혈액검사를 통해 골대사 표지자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이 중 21례에 대해서는 진단 당시에, 6례에 대해서는 추적기간 중 골밀도 검사를 시행하여 골밀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성별, 골밀도 검사 결과치, 고칼슘뇨증의 유형, 요로결석의 생성유무에 따라 각각 골대사 표지자 및 골밀도의 차이를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대상 환아의 남녀비는 29:23 이었고 평균연령은 6년 7개월이었다. 전체의 94%인 49례가 초기증상으로 혈뇨를 보였고 경구 칼슘부하검사 (n=51)상 흡수형은 19례, 신장형 12례, 혼합형 20례로 진단되었다. 진단 당시 초기 골밀도 검사는 총21례에서 시행되었으며, 이중 10례 (48%)에서 Zscore가 -1 이하의 골감소증 소견을 보였고 특히, 2례는 Zscore가 -2.5 이하의 골다공증 소견을 보였다. 골대사 표지자 중에서는 osteocalcin이 골감소증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그러나 성별, 고칼슘뇨증의 종류, 요로결석의 생성유무에 따른 집단 간 비교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 론: 소아 특발성 고칼슘뇨증은 혈뇨뿐 아니라 골밀도 의 감소를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특 발성 고칼슘뇨증 환자에 대한 정기적인 골밀도 검사를 제안하며, 추후 특발성 고칼슘뇨증으로 인한 골감소증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Idiopathic hypercalciuria is a common clinical disorder in children with hematuria or nephrolithiasis.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idiopathic hypercalciuria may disturb the metabolism of
bone and induce its loss. We measured the biochemical markers of bone metabolism and bone mineral densities (BM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in children with idiopathic hypercalciuria to elucidate the prevalence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osteopenia. Methods : From 1997 to 2005, 52 children with idiopathic hypercalciuria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biochemical markers of bone metabolism were measured in all 52 patients. BMD was measured in 21 patients initially and additional 6 patients during the follow-up. Results : Mean age of patients was 6 years 7 months,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26:1. BMD Z-scores were less than -1 in 10 of initial 21 patients (osteopenia), and -2.5 in 2 of 10 osteopenic patients (osteoporosi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MD Z-score and the level of osteocalci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MD Z-scores and other biochemical markers of bone metabolism among groups divided by sex, the type of idiopathic hypercalciuria, and the presence of urinary stone. Conclusion : Idiopathic hypercalciuria can be not only the cause of hematuria, but also of osteopenia in children. We suggest that the measurement of BMD in children with idiopathic hypercalciuria should be performed routinely with regular follow-up. |
---|---|
ISSN: | 2211-9132 2211-91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