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막투석 환자와 혈액투석 환자에서 내장 비만의 유병률 비교

목적: 최근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흡연과 더불어 비만이 심혈관 질환 발생을 유발하는 중요 위험 인자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장 비만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복부 지방 전산화단층촬영 (Abdominal fat CT)을 이용하여 단일 기관에서 투석 중인 혈액투석 및 복막투석 환자에서 내장 비만의 유병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1월부터 2007년3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신장내과 외래에서 투석 치료를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복부 지방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여 내장 비만 양을 측정하였다. 내장 비만은...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2008, 27(4), , pp.458-464
Hauptverfasser: 구영미, Young Mi Ku, 김영수, Young Soo Kim, 윤선애, Sun Ae Yoon, 염근상, Keun Sang Yum, 민경희, Kyung Hee Min, 정순선, Soon Sun Jung, 송호철, Ho Cheol Song, 김용수, Yong Soo Kim, 정수교, Soo Kyo Chung, 김영옥, Young Ok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최근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흡연과 더불어 비만이 심혈관 질환 발생을 유발하는 중요 위험 인자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장 비만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복부 지방 전산화단층촬영 (Abdominal fat CT)을 이용하여 단일 기관에서 투석 중인 혈액투석 및 복막투석 환자에서 내장 비만의 유병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1월부터 2007년3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신장내과 외래에서 투석 치료를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복부 지방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여 내장 비만 양을 측정하였다. 내장 비만은 복부 내장지방면적이 103.8 cm2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고,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투석기간, 지방수치, 신체질량지수, 당뇨병 여부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총 172명의 대상 환자 중 혈액투석 환자는 65명, 복막투석 환자는 67명이었다. 복막투석 환자의 평균체중 (60.1±9.3 kg vs. 67.0±12.2 kg, p=0.000), 평균 BMI (22.7±3.2 kg/m2 vs. 25.0±3.3 kg/m2, p=0.000), 중성지방 양 (146.3±83.2 mg/dL vs. 186.2±122.3 mg/dL, p= 0.031)이 혈액투석 환자에 비해 높았다. 또한 혈액투석군에 비해 평균 내장지방 면적 (97.3±50.2 cm2 vs. 122.8±47.5 cm2, p=0.003), 내장 비만 유병률 (35.4% vs. 56.7%, p= 0.014)이 복막투석군에서 높았으나, 복막투석군에서는 내장 지방면적과 신체질량지수 사이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r=0.154, p=0.214). 양 군 모두 고령 환자에서 내장 비만의 유병률이 높았다 (≥65) (p=0.004).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혈액투석군에 비해 복막투석군의 내장 비만 발생률이 높았다.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으나 복막투석 환자에서 대사 증후군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체중 및 영양 상태의 적극적인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Visceral obesity is a more reliable indicator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 than BMI. Our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prevalence of visceral obesity in peritoneal dialysis (PD) patients to hemodialysis (HD) patients with abdominal fat CT in a single center. Methods: In this cross sectional study, the result of abdominal fat CT of dialysis patients was investigated from January, 2007 to March, 2007 in Uijeongbu St. Mary`s Hospital.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related to visceral obesity, we analyzed patients` medical records such as duration of dialysis, lipid profiles, anthropometric data and the presence of DM. Results: We enrolled 65 HD patients and 67 PD patients. PD group had higher mean body weight, mean body mass index (BMI), and triglyceride level, compared to HD group. The PD group had higher visceral fat area, measured by abdominal fat CT than HD group. The prevalence of visceral obesity was higher in PD group than HD group. Visceral fat area showed positive co-relation with BMI in HD group, but did not in PD group. The age related prevalence of visceral obes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atients with older age group (>65). Conclusion: Our cross sectional study points to the fact that visceral obesity is more common in PD patients than HD patients. It is necessary to control weight and nutritional status, especially in PD patients for preventing metabolic complications.
ISSN:2211-9132
2211-9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