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이밍이론으로 본 국제개발협력의 ‘원조효과성’과 ‘개발효과성’ 담론 경합에 관한 연구
2011년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를 준비하면서 국제사회는 프레임 경합을 경험하였다. 이전 약 10년간의 지배적 프레임인 ‘원조효과성’을 비판하면서 ‘개발효과성’ 프레임이 등장하였다. 국제시민사회를 중심으로 대안적 프레임으로 제기된 ‘개발효과성’은 개발협력의 절차보다 실질적 결과가 더욱 중요하다고 보면서 인권, 젠더, 환경 등의 크로스커팅(cross-cutting) 아젠다와 정부뿐만 아니라 시민사회단체와 기업 등도 참여하는 포괄적(inclusive) 국제개발협력 체제를 강조했지만 지배적 프레임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논문의 목...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Kukche chŏngch'i nonch'ong 2013, 53(1), , pp.7-40 |
---|---|
1. Verfasser: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2011년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를 준비하면서 국제사회는 프레임 경합을 경험하였다. 이전 약 10년간의 지배적 프레임인 ‘원조효과성’을 비판하면서 ‘개발효과성’ 프레임이 등장하였다. 국제시민사회를 중심으로 대안적 프레임으로 제기된 ‘개발효과성’은 개발협력의 절차보다 실질적 결과가 더욱 중요하다고 보면서 인권, 젠더, 환경 등의 크로스커팅(cross-cutting) 아젠다와 정부뿐만 아니라 시민사회단체와 기업 등도 참여하는 포괄적(inclusive) 국제개발협력 체제를 강조했지만 지배적 프레임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국제사회가 ‘원조효과성’ 담론의 한계를 인지하면서도 왜 좀 더 포괄적인 ‘개발효과성’ 담론이 부산총회에서 경합을 거쳐 지배적인 담론으로 자리 잡지 못했는가를 담론경합 분석에 유용한 구성주의 방법론 중의 하나인 프레이밍(Framing)이론을 사용하여 담론 경합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제2장에서는 구성주의 접근과 프레이밍이론과의 관계와 프레이밍이론 접근방법에 관해 논의하고 제3장에서는 원조효과성과 개발효과성의 정의와 각 담론의 경합과정을 살펴본 후 개발효과성이 지배적 프레이밍으로 성장하지 못한 요인을 프레이밍이론의 시각으로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개발효과성이 지배적 담론으로 되지는 못했지만 프레임 경합과정 이후에 포스트 부산 국제개발협력체제에서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면서 향후 재경합에 관한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2011 High Level Forum on Aid Effectiveness in Busan led the global society to experience frame contestation. Aid effectiveness, the master frame for the past decade, received wide criticism while the global civil society introduced a new frame called ‘development effectiveness’ as an alternative. However, development effectiveness frame failed to become a master fram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why development effectiveness failed in becoming the master frame in Busan Forum given that the global community is aware of the limits of aid effectiveness. This paper presents Framing theory, a part of constructivist approach, as a tool to analyze the process of discursive contestation. The chapter 2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vist approach and framing theory and the research approach of framing theory. The next chapter provides the definitions of development effectiveness and aid effectiveness, the process of each frame contestation and then analyzes critical factors responsible for failed master frame formation of development effectiveness using framing as an analytical tool. Finally, concludes the paper by examining how development effectiveness influenced post Busan aid architecture after the frame contested process and probing the possibility of future contestation. KCI Citation Count: 29 |
---|---|
ISSN: | 1598-4818 2713-6868 |
DOI: | 10.14731/kjir.2013.03.5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