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의 일본 ODA 연구 동향 분석: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의 일본 공적개발원조(ODA)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은 1994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등재후보지 이상의 연구논문으로 총 55편이다. 일반적인 ODA 연구기준에 근거하여 수집된 자료를 1) ODA 전략과 정책, 2) ODA (지역)배분과 국가별 협력전략, 3) ODA의 거버넌스, 4) ODA의 개발주체, 5) 일본사회의 ODA 담론중심으로 분석했다. 시기별로 일본 ODA 연구 경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하기위해 UCINET을 활용하여 텍스트 네트...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ukche chŏngch'i nonch'ong 2016, 56(3), , pp.193-227
Hauptverfasser: 손혁상, 이진영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의 일본 공적개발원조(ODA)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은 1994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등재후보지 이상의 연구논문으로 총 55편이다. 일반적인 ODA 연구기준에 근거하여 수집된 자료를 1) ODA 전략과 정책, 2) ODA (지역)배분과 국가별 협력전략, 3) ODA의 거버넌스, 4) ODA의 개발주체, 5) 일본사회의 ODA 담론중심으로 분석했다. 시기별로 일본 ODA 연구 경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하기위해 UCINET을 활용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text network analysis)을 시도했다. 분석 결과 국내 연구자들의 일본 ODA 연구는 시기별 연구주제의 특징이뚜렷이 구분됨을 발견했다. 2010년 이전 국내 연구자들에 의한 일본 ODA 연구는대체로 ODA의 정책 및 거버넌스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이는 한국의 원조체계와 정책이 초기단계에서는 일본의 사례를 주로 참고하였던 상황을 반영한 결과이다. 한국의 원조체계가 법적 기반을 확보한 2010년 이후 연구는 이와 같은 경향이 현저히 줄어들고‘인간안보(human security)’와 같은 규범적 논의를 포함하여 일본 ODA의 내용적 특징을 연구하는 경향이 강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Japanes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n Korean academic journals. This study focus on three key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main subjects for Japanese ODA?; and then what academic fields are Japanese ODA research rooted in? Lastly, what are its main characteristics? We collect the 55 journal papers listed in the Korean Citation Index (KCI) from 1994 to 2015. We also categorize these papers into five subjects; 1) Japanese ODA strategy and policy, 2) the regional and sectoral ODA allocation, 3) governance of the Japanese ODA, 4) main actors, and 5) ODA related social issues in Japan. We use a text network analysis software; UCINET. After analysis, we draw three findings. Firstly, academic disciplines dealing with Japanese ODA have been growing more than ever before. Secondly, most Korean scholars, before 2010, tend to focus on the governance issues of Japanese ODA systems. Finally, after 2010, the issues of Japanese ODA studies has broadened to cover norm subjects like human security and divers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foreign aid. KCI Citation Count: 10
ISSN:1598-4818
2713-68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