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소 덩이의 임상병리학적 고찰

목적: 최근 우리나라 여성에서 발생하는 난소 덩이의 조직병리학적 특성 및 임상양상을 조사하여 향후 진단 및 치료 결정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만 12년 6개월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과 동래백병원 산부인과에 난소 덩이로 입원하여 수술을 시행 받았던 환자 2,875예를 대상으로 조직병리학적 분류와 연령에 따른 발생 분포를 비교해 보았다. 결과: 총 2,875예의 난소 덩이 중 비 신생물성 덩이가 1,078예 (37.5%), 신생물성 덩이가 1,797예 (62.5%)였고, 신생...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2010, 53(03), 573, pp.235-242
Hauptverfasser: 박영미, Young Mi Park, 최영조, Young Jo Choi, 손영실, Young Sil Son, 정은정, Eun Jeong Jeong, 김수선, Su Sun Kim, 변정미, Jung Mi Byun, 김영남, Young Nam Kim, 정대훈, Dae Hoon Jeong, 정철회, Chul Hoi Jeong, 이경복, Kyung Bok Lee, 성문수, Moon Su S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최근 우리나라 여성에서 발생하는 난소 덩이의 조직병리학적 특성 및 임상양상을 조사하여 향후 진단 및 치료 결정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만 12년 6개월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과 동래백병원 산부인과에 난소 덩이로 입원하여 수술을 시행 받았던 환자 2,875예를 대상으로 조직병리학적 분류와 연령에 따른 발생 분포를 비교해 보았다. 결과: 총 2,875예의 난소 덩이 중 비 신생물성 덩이가 1,078예 (37.5%), 신생물성 덩이가 1,797예 (62.5%)였고, 신생물성 덩이 중 양성 난소종양은 1,286예 (44.7%), 경계성 난소종양은 140예 (4.9%), 악성난소종양은 371예 (12.9%)였다. 비 신생물성 덩이 중에서는 자궁내막종이 644예 (59.7%)로 가장 많았고 양성 난소종양 중에서는 생식 세포 종양이 611예 (47.5%)로 가장 많았으며 경계성 난소종양 중에서는 점액낭샘종이 105예 (75.0%), 악성난소종양 중에서 상피성 난소암이 267예 (72.0%)로 가장 많았다. 연령에 따른 난소종양의 분포는 10대와 20대에서는 생식세포종양 (성숙 낭기형종)이 가장 많았고, 30대와 40대에서는 자궁내막종이 가장 많았으며, 50대 이상에서는 양성 상피성 난소종양이 가장 많았다. 결론: 최근 우리나라 여성에서 발생하는 난소 덩이 중에서는 전체적으로 자궁내막종이 가장 많았는데, 이는 근래 자궁내막종의 증가 추세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help to make a decision about diagnosis and treatment of ovarian masses in Korean women. Methods: Women who were undergone operations and histopathologically confirmed as ovarian masses at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and Donrae Paik Hospital from January of 1997 to June of 2009 were enrolled in this study. Distribution according to histopathological types and ages were analyzed. Results: Of the 2875 cases, there were 1078 cases (37.5%) of non neoplastic masses and 1797 cases (62.5%) of neoplastic masses. In the neoplatic masses, there were 1286 cases (44.7%) of benign tumors, 140 cases (4.9%) of borderline tumors and 371 cases (12.9%) of malignant tumors. Endometriomas were most common tumors (644 cases, 59.7%) among non-neoplastic masses. Mature cystic teratomas were the most common tumors (598 cases, 46.5%) among benign tumors. Mucinous cystadenomas were the most common types (105 cases, 75.0%) among borderline tumors. Epithelial ovarian cancers were the most common types (267 cases, 72.0%) among malignant tumors. As the result of age distribution, mature cystic teratomas were the most common types of the women of the first and second decade, endometriomas were the most common types of the women of the third and fourth decade, and benign epithelial tumors were the most common types of the women of fifth and after sixth decade. Conclusion: Taken as a whole, neoplastic ovarian masses were more common than non-neoplastic masses, but most common ovarian mass was endometrioma which is non-neoplastic mass.
ISSN:2287-8572
2287-8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