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중 체중증가 및 임신전 체질량지수와 주산기 예후의 연관성
목적 임신중 체중증가 및 임신전 체질량지수와 주산기 예후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1년부터 2009년까지 비합병 만삭분만한 3,428예의 한국인 산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신전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저체중(< 18.5 kg/m2), 정상체중(18.5-22.9 kg/m2), 과체중(23.0-24.9 kg/m2), 비만군(≥ 25.0 kg/m2) 산모군 등 4개의 군으로 나누었고, 임신중 체중증가의 제1, 제2, 제3 사분위 수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임신중 체중증가 및 임신전 체질량지수와 특정 주산기...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2011, 54(10), 592, pp.575-581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임신중 체중증가 및 임신전 체질량지수와 주산기 예후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1년부터 2009년까지 비합병 만삭분만한 3,428예의 한국인 산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신전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저체중(< 18.5 kg/m2), 정상체중(18.5-22.9 kg/m2), 과체중(23.0-24.9 kg/m2), 비만군(≥ 25.0 kg/m2) 산모군 등 4개의 군으로 나누었고, 임신중 체중증가의 제1, 제2, 제3 사분위 수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임신중 체중증가 및 임신전 체질량지수와 특정 주산기 예후의 독립적 연관성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임신중 체중이 많이 증가할수록, 임신전 체질량지수가 클수록 부당경량아의 위험도는 낮았고, 미산모 제왕절개수술 및 부당과량아의 위험도는 높았다. 결론 임신중 체중증가 및 임신전 체질량지수와 주산기 예후의 연관성이 있었다. 과다하거나 과소한 임신중 체중증가와 연관된 산모나 신생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한국인 산모를 위한 임신중 체중증가 권장치를 설정하기 위해 다기관 공동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o investigate an association of gestational weight gain (GWG) and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BMI) with perinatal outcomes. Methods The sample included 3,428 Korean patients who had uncomplicated singleton term pregnancy from 2001 to 2009. The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prepregnancy BMI; underweight (< 18.5 kg/m2), normal weight (18.5-22.9 kg/m2), overweight (23.0-24.9 kg/m2) and obese (≥ 25.0 kg/m2) and were also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25th, 50th, 75th percentile of GWG. Adjusted associations of GWG and prepregnancy BMI with perinatal outcomes were estimat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 greater GWG and the heavier prepregnancy BMI decreased the risk of small for gestational age and increased the risk of cesarean section for nulliparas and large for gestational age. Conclusion There was an association of GWG and prepregnancy BMI with perinatal outcomes. To prevent maternal or neonatal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excessive or inadequate GWG, a multicenter study is needed to establish a Korean standard value for the recommended range of GWG. |
---|---|
ISSN: | 2287-8572 2287-85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