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내막증 여성에서 수술 후 GnRH agonist 치료 중 호르몬 보충요법 유무에 따른 삶의 질 변화
목적 수술 후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효능제(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gonist)를 투여받는 자궁내막증 여성에서 호르몬 보 충요법의 유무에 따른 삶의 질의 변화를 조사하여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9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복강경수술을 통해 난소낭종절제술을 시행받고 III/IV기의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3회의 GnRH agonist 투여 시부터 호르몬 보충요법을 함께 시행받은 군과 GnRH agonist만 단독으로 투여받은 군으로 나누어 수술 전과...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2012, 55(06), 600, pp.371-377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수술 후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효능제(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gonist)를 투여받는 자궁내막증 여성에서 호르몬 보 충요법의 유무에 따른 삶의 질의 변화를 조사하여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9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복강경수술을 통해 난소낭종절제술을 시행받고 III/IV기의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3회의 GnRH agonist 투여 시부터 호르몬 보충요법을 함께 시행받은 군과 GnRH agonist만 단독으로 투여받은 군으로 나누어 수술 전과 6번째 GnRH agonist 투여시기 및 GnRH agonist 투여가 끝난 6개월 후에 각각 short form health survey (SF-36)과 골반통, 생리통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두 군 간에 연령, 체질량지수, 병기, revised American Fertility Society score 등은 차이가 없었으며, 호르몬 보충요법을 시행하는 이유는 대부분 폐경 증상의 발생에 의한 것이었다. 골반통과 생리통은 각각의 조사시기에 두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신체 기능(physical function)은 호르몬 보충요법군에서 수술 전에 비해 GnRH agonist 6회 투여 시에 오히려 향상된 결과를 보였고, 비보충요법군에서는 수술 전이 GnRH agonist 6회 투여 시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GnRH agonist 6회 투여 시에 보충요법군에서 비보충요법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수술 후 GnRH agonist를 투여받는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호르몬 보충요법을 함께 시행한 경우 통증의 감소에 부정적인 영향이 없었으며 신체 기능이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르몬 보충요법이 이러한 환자군에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d-back therapy on quality of life during postoperative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gonist therapy for endometriosis. Methods Fifty-on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stage III/IV endometriosis after laparoscopic ovarian cystectomy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0 were divided into GnRH agonist with add-back therapy group and GnRH agonist only group. Add-back therapy was started before third injection of GnRH agonist. Short form health survey (SF-36) instrument was checked preoperatively, at the time of 6th GnRH agonist therapy and 6 months after GnRH agonist therapy.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n the mean age, body mass index and revised American Fertility Society score. In most cases, add-back therapy was added because of menopausal symptoms. Pelvic pain and dysmenorrhea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n each survey period. At the time of 6th GnRH agonist therapy, physical function in add-back therapy group was improved signifi cantly compared with preoperative period (85.7±8.8 vs. 91.0±10.4, P =0.011). In GnRH only group, physical function at preoperative period was rather higher than at the time of 6th GnRH agonist therapy. Conclusion Add-back therapy during postoperative GnRH agonist therapy showed no negative effect on pelvic pain and dysmenorrhea. Physical function was improved in add back group. Add-back therapy might have an infl uence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receiving postoperative GnRH agonist therapy for endometriosis. |
---|---|
ISSN: | 2287-8572 2287-8580 |
DOI: | 10.5468/KJOG.2012.55.6.371 |